현역 군인은 35만명 수준 유지”
국군의 날, 전략무기 대거 등장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군 규모를 현역 35만명, 아웃소싱(외주) 인력 15만명으로 구성된 50만 병력을 유지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안 장관은 지난달 30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국군) 50만명 수준을 유지해야 하므로 전투병 위주 현역 군인은 35만명을 유지하고 경계인력 등 비전투 분야는 아웃소싱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는 “주한미군도 비전투 분야는 모두 민간에 아웃소싱하고 있다”면서, 국군도 군무원과 상비예비군 등 15만명에게 비전투 분야를 맡겨 병력 자원 감소에 대비하겠다고 설명했다.

군 병력은 2002년 69만명을 기록한 이후 2017년까지 60만명 이상을 유지했으나, 2018년 57만명을 기록한 이후 계속 감소해 지난해 말에는 48만명으로 줄었다. 저출산에 따른 병력 자원 감소와 복무기간 단축 영향으로 2040년에는 국군 병력이 35만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안 장관은 고가의 무기체계를 다루는 기술군은 4만여명을 유지하고, 급여를 대폭 상향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한편 1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군의 날 기념식에는 북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무기들이 등장했다. 230㎜ 다연장로켓 천무, 항공기와 탄도미사일 요격이 가능한 천궁-Ⅱ, 고도 40㎞ 이상에서 탄도미사일을 격추할 수 있는 장거리지대공유도무기(L-SAM), 지난해 국군의 날 행사에서 처음 공개된 고위력 탄도미사일 현무-5를 비롯한 지대지미사일과 현무-3 순항미사일, 함정·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해성-2 순항미사일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탄두 중량이 8t에 달하는 현무-5는 강력한 파괴력으로 지상·지하 표적을 무력화하는 미사일로서 한국형 3축 체계 중 하나인 대량응징보복(KMPR) 수단이다.

지뢰를 비롯한 폭발물을 발견해서 파괴하는 폭발물탐지제거로봇과 위협 요소를 탐지하는 협업 기반 자율탐사로봇, 감시정찰 및 전투 임무 수행이 가능한 다중로봇 협동자율 시스템과 소총사격드론 등을 포함한 유·무인 복합체계도 함께 공개됐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