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北과 조건없는 대화”… 트럼프·김정은 ‘에이펙 번개’ 탐색전

입력 : 2025-10-01 19:02:12 수정 : 2025-10-01 19:02:12
장민주·윤선영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백악관, 北 비핵화 언급 없이
“美 대북정책엔 변함 없다” 강조

“트럼프에 좋은 추억” 말한 김정은
대화 테이블 나설 명분 만들어줘

‘2019년 깜짝 회동’ 재연 가능성
李대통령과 3자만남 여부도 주목

미국 백악관이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21일 “미국이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면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한 데 대한 반응으로 보인다. ‘북한 비핵화’에 대한 입장이 엇갈리지만 양측이 대화 의지를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31일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만남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에서 두 정상의 만남이 성사된다면 이재명 대통령의 참여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가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P연합뉴스

백악관 관계자는 30일(현지시간) 핵문제를 거론하지 않는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묻는 한국 언론의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과 3차례 역사적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2018년 6월 싱가포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난 바 있다. 마지막 판문점 만남에서는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함께해 3자 회동이 됐다.

백악관의 이날 입장 표명에서 주목되는 건 ‘전제조건 없는 대화’ 의사를 밝혔다는 점이다. 이는 김 위원장이 앞선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좋은 추억”을 언급하며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한 대화 의지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백악관 관계자는 “미국의 대북 정책은 변함이 없다”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원칙을 강조했지만 비핵화를 명시하지 않아 일단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오려는 메시지로 읽힌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는 북한과 대화할 수 있는 건을 만들어보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읽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대화 의지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김 위원장에게 공을 넘긴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 미국이 대화의 의지를 보이고 있는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하는 경주 에이펙 정상회의가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2019년 판문점 3자 회동처럼 깜짝 형식일 가능성이 있다”며 “이벤트를 좋아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호에 부합하고, 김 위원장도 핵 문제만 건드리지 않는다면 손해 보지 않는 장사”라고 설명했다.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김 위원장에게 ‘만나자’는 제안을 했고, 김 위원장이 이에 호응하면서 갑작스러운 회동이 성사됐다. 이번 만남도 정상회담보다는 만남 자체에 의미를 두는 가벼운 형태의 회동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이 성사될 경우 또 하나의 관심사는 이 대통령의 참여 여부다. 경주에서 열리는 에이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만큼 이 대통령이 참여하지 않는 게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김 위원장은 ‘적대적 두 국가론’을 부각하며 남한과 어떤 협상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양 교수는 “김 위원장은 자존심과 기싸움 차원에서 이 대통령의 배제를 주장할 수 있다”면서도 “북·미 정상 간 합의사항 이행에 한국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자국 이익을 위해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한국 참여를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국과 대화할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도 예측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