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방향은 더 적극적인 ‘공감 콘텐츠’
1997년 연재가 시작된 일본 만화 ‘원피스’가 최근 새삼 화제다. 5억부 이상 팔려 기네스북에 오른 만화책이지만, 최근의 화제를 만든 건 만화 자체가 아니라 이 만화 속에 등장하는 해적깃발이었다. 시작은 지난 8월 벌어진 인도네시아 시위. 정부가 국회의원들의 주택수당을 터무니없이 높이자 분노한 인도네시아 젊은이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 이들의 손에는 원피스의 주인공 루피와 그 동료들을 상징하는 ‘밀짚모자 해적단’의 밀짚모자를 쓴 해골 깃발이 들려 있었다.
시위 앞에서 결국 인도네시아 정부는 주택수당 인상을 철회했다. 하지만 해적깃발의 행렬은 인도네시아에서 멈추지 않았다. 9월 초, 네팔 정부가 인스타그램, 유튜브, 엑스(옛 트위터) 등의 소셜미디어를 차단하자 전국적인 시위가 벌어졌는데 이 시위대들의 손에 들린 것도 원피스의 해적깃발이었다. 우연찮게도 9월 한 달간 필리핀, 프랑스, 파라과이, 페루 등 세계 각국에서 반정부 시위가 열렸다. 그리고 어김없이 동일한 원피스 깃발이 등장했다. 어느 나라에도 배후 세력은 없었는데, 모든 나라의 주동 세력에게는 공통점이 있었다. 이들은 각국의 Z세대였다. 대략 1990년대 후반 이후 태어나 소년기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자란 세대 말이다.

대중문화 속 상징은 종종 정치 시위에 사용돼 왔다. 하지만 한 달 남짓한 시간 동안 세계 곳곳에서 동일한 상징이 쓰인 건 본 적 없는 일이었다. 이들이 사용한 원피스 해적깃발은 Z세대의 상징이 됐다. 그리고 내게는 ‘K컬처’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가 됐다. 한국인인 우리는 BTS와 불닭볶음면, 케이팝데몬헌터스와 오징어게임 등이 세계에서 인기를 끈다는 뉴스를 확대재생산하며 세계가 한국을 사랑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냉정하게 따져보자. 세계가 한국을 사랑하는 게 아니다. 세계의 Z세대는 한국이라는 국가가 아닌, 소셜미디어라는 동일한 창 속의 다양한 문화를 사랑할 뿐이고, 우연히 그게 때로는 BTS였고, 때로는 원피스였을 뿐이다.
의미를 깎아내리려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다. 이런 세대는 지금까지 없었다. 세계화가 이뤄졌다는 ‘X세대’의 시대에도 문화는 지역적이었다. 한국의 X세대가 서태지를 듣는 동안 미국의 X세대는 너바나를 들었다. 사는 곳이 다르면 취향도 달랐으니까. 그런데 Z세대는 함께 원피스를 보며 자랐고, 함께 K팝을 듣는다. 리그오브레전드와 배틀그라운드 같은 게임은 이 세대의 월드컵이자 올림픽이다. 세계의 Z세대는 지역에 관계없이 문화적으로 동질한 인류 역사상 첫 세대다.
이런 세상에서 ‘K컬처’가 성공했던 건 아마도 한국의 독특한 위치 덕분이었을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에 국가가 나섰던 정책적 지원이 한 원인일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매스미디어 시대가 소셜미디어 시대로 변했다는 점이다. 영화관과 TV 중심의 매스미디어는 기술과 자본을 가진 백인들이 좌우했다. 하지만 모두가 스크린을 한 개씩 들고 있는 소셜미디어 시대에선 한국인도, 그 어떤 인종도 주인공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아시아 지역의 Z세대는 그 수에서 유럽과 북미를 압도한다. ‘소수 인종’의 ‘마이너 문화’가 모두의 보편적인 문화가 될 기회를 얻은 것이다.
그래서 K컬처를 ‘한국인의 우수성’과 연결 짓는 해석은 늘 불편하다. 우수한 문화라는 표현은 반드시 열등한 문화를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세계의 Z세대가 원피스의 해적깃발이 우수해서 사용하는 게 아니라 그 의미에 공감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처럼, 우리가 앞으로 할 일도 한국을 자랑하는 게 아니라, 세계에 더 적극적으로 공감하는 일이 아닐까.
김상훈 실버라이닝솔루션즈 대표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