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8·15 광복 이후 조선총독부도서관 간판을 내리고 10월 15일 개관한 국립도서관이 창립 80주년을 맞았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를 기념하는 ‘미래를 여는 지식의 길’ 행사를 도서관 일대에서 15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에 따르면 광복 바로 다음 날 조선총독부도서관에는 한국인 직원 16명만이 출근해서 도서관을 확보하기로 결의했다. 이들은 일본인 직원들을 만나 장서를 먼저 확보하기로 하고 일반 사무와 회계는 후일 협의하기로 하였다. 이후 각 서고 열쇠를 인수해서 전체 장서를 확보했고 장서를 보호하기 위해 매일 3명씩 불침번을 서면서 조선총독부도서관의 본 서고를 지켰다고 한다. 이후 ‘도서수호문헌수집위원회’, ‘도서관협회결성준비위원회’ 등을 만들었고 8월 30일 일본인 관장이 전체 직원회의를 소집해 한국인에게 도서관 사무 일부를 이양한다고 정식 선언했다. 이후 건국준비위원회와 미 군정청 등을 거쳐 국립도서관 개관 준비 및 실무가 이뤄져 10월 15일 오전 9시 개관식을 거행하며 우리나라 도서관 역사의 출발을 알렸다.
소장 장서 28만4457책, 직원 34명으로 출범한 국립중앙도서관은 현재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약 1500만권의 장서와 2000여만건의 온라인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15일부터 12월 14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는 특별전시 ‘나의 꿈, 우리의 기록, 한국인의 책장’이 열린다. 도서관이 소장한 국보와 주요 작품 초판본 등 200여종의 장서를 시대·주제별 책장을 통해 조명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