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결핵 환자가 감소 추세지만, 요양병원이나 노인복지시설에서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결핵은 결핵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 등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결핵환자는 지난해 1만7944명으로, 2015년(4만847명)보다 56.1% 줄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발생률도 같은 기간 80.2명에서 35.2명으로 감소했다.

범위를 넓혀 보면 국내 결핵 환자는 2011년 5만491명으로 최고치를 찍은 후 연평균 7.6%씩 감소해 지난해까지 64.5% 감소했다. 13년 연속 환자가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노인 입소 시설이나 병원 등에서의 환자 발생은 이어지고 있다는 게 질병청의 설명이다.
실제 65세 이상 환자 비중은 2020년 48.5%에서 2021년 51.0%로 절반을 넘긴 뒤 2022년 55.4%, 2023년 57.9% 등으로 커졌다.
요양·여가·주거복지시설 등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도 2019년 807건에서 지난해 967건으로 19.8% 늘었다.
이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역학조사는 지난해 전체 역학조사(1347건)의 71.8%를 차지했다.
한편 국내 거주 외국인 결핵환자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질병관리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결핵 신규환자 중 외국인 환자 비중은 2019년 5.3%에서 작년 6.0%로 증가했다.
국내 결핵 신규환자가 2019년 3만304명에서 작년 1만7944명으로 1만2천360명(40.8%) 급감했지만 같은 기간 외국인 결핵환자는 1597명에서 1077명으로 520명(32.6%) 줄어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외국인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 환자가 가장 많았다.
올해 1~8월 중국 국적 환자는 307명으로 외국인 환자 721명 중 42.6%를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10.0%), 태국(7.2%), 인도네시아(6.1%), 네팔(5.0%) 등이 뒤를 이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