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용품 수출업체 운영하다 미국 마약상 만나 GBL 원액 밀수출
1군 임시마약류 수출 적발 사상 처음…한미 공조수사로 사건 해결

국제 마약조직과 공모해 이른바 ‘물뽕’(GHB)의 원료물질을 해외에서 대량으로 들여와 다시 미국, 호주 등으로 수출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마약청정국’으로 불렸던 한국에서 1군 임시마약류 지정 물질의 수출 사례가 적발된 건 이번이 처음으로 ‘마약수출국’이란 오명을 쓰게 됐다. 임시마약류란 보건상 위해가 우려돼 긴급히 마약류에 준한 취급·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된 물질이다.
경기남부경찰청 광역수사단 마약범죄수사대는 영리 목적 임시마약류 수출 혐의로 30대 여성 A씨와 사실혼 관계인 20대 B씨를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30일 밝혔다. 또 같은 혐의로 A씨와 가족·친구 관계인 3명을 불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겼다.
A씨 등은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자신들이 운영하는 의왕시의 미용용품 수출업체에서 시가 159억원 상당의 GBL(GHB의 원료물질) 8t을 72차례에 걸쳐 미국 캘리포니아 등으로 밀수출한 혐의를 받는다.
이들이 수출한 GBL은 동시에 800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GHB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GBL 1ℓ당 시가는 1400달러(약 198만8000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범죄수익 18억2000여만원에 대한 기소 전 추징 보전을 신청했는데, 실제 수익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속눈썹 등을 지우는 리무버를 수출하는 업체를 운영한 A씨는 영업이 잘 안 되자 지인의 업체에서 일하던 중 바이어로 가장한 미국 마약상과 접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자리에서 리무버 원료인 GBL에 대한 수요가 상당하다는 사실을 듣고, 밀수출 범행을 계획했다.
A씨는 자신이 운영하던 의왕시의 업체로 돌아와 국내 수입업자로부터 GBL을 대량 구매했다. ‘미용용품 제조·수출업’이 명시된 사업자등록증과 타인의 사업장에서 촬영한 생산 장비 등 사진을 첨부한 서류를 이용해 범행을 이어갈 수 있었다. 드럼통째 들여온 GBL을 소분한 뒤 정상 제품인 것처럼 허위 성분분석표 등이 담긴 라벨을 부착해 밀수출했다.
이렇게 팔려나간 GBL은 멕시코 카르텔과 연계한 미국 내 국제 마약조직 의해 유통됐고, 호주로도 23㎏가량이 5차례에 걸쳐 밀수출됐다. 이 과정에서 수사 당국에 꼬리가 잡힌 뒤 호주 연방경찰, 미국 마약단속국(DEA)과의 공조로 지난 7월 A씨 등 일당이 모두 검거됐다.
A씨는 수사망이 좁혀오자 친척 명의로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해 같은 방식으로 범행을 지속하며 이득을 불린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해외 수사기관뿐 아니라 국내 유관기관과 협업해 마약류 수출 및 반입에 대한 수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