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더딘 복구율 닷새째 10%대… 李 “신속 점검 뒤 내주 보고”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

입력 : 2025-09-30 18:08:29 수정 : 2025-09-30 23:03:58
조성민·박영준 기자, 대전=강은선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647개 시스템 중 95개만 정상화
중대본 “부동산거래 등 일부 기능 장애
주민등록·인감·여권 등은 큰 혼란 없어”
정부, 중단 목록·대체 수단 제공 방침

경찰, 화재 원인 규명에 수사력 집중
“전기 작업자 모두 관련 자격증 보유”
5층 전산실 3D스캐너 촬영 면밀 조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에 대한 복구작업이 닷새째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 복구율은 10%대 수준이다.

청사 출입 불편 겪는 공무원들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가 닷새째 이어진 30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출입구에 모바일 출입증 사용 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최상수 기자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30일 오후 6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95개(14.7%)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이 중 정부24와 모바일신분증, 인터넷우체국(EMS) 등 1등급 분류 업무시스템 38개 중 20개(52.6%)가 복구 완료된 상태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화재 발생 직후부터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 시스템이 중단돼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국정자원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화재가 난 5층에는 7, 7-1, 8 전산실이 있다. 이 중 7전산실에 200개, 화재가 발생한 7-1전산실에 96개, 8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가 집중돼 피해 규모가 크다고 중대본은 전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같이 밝히며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 시스템은 재가동 중이며, 7-1전산실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1차장은 “지자체 현장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께서 자주 많이 활용하는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부동산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돼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하는 등 불편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사고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된 647개 시스템 목록과 정상화 여부, 대체수단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김 1차장은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도 대구센터 이전과 민간 협력을 통해 복구를 추진 중”이라며 “다만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복구가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재차 신속한 점검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사태와 관련, 모든 부처를 향해 “부처 업무 및 산하기관 업무에 있어 보안·국민 안전·위해 방지를 위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최대한 신속히 점검해 다음 주 국무회의 전까지 최대한 빨리 보고해달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점검했더니 문제가 있다, 없다, 시스템·매뉴얼을 보강해야 된다, 문제점이 있는 것들을 최대한 발굴해 서면으로 국무회의 전에 최대한 빨리 보고해달라. 한두 군데가 아닌 것 같은데 전부 스크린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경찰은 불이 난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원인이 작업 중 과실 문제인지, 배터리 노후화로 인한 자체 문제인지 화재 원인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김재춘 대전경찰청 강력계장은 “작업자와 관계자 조사 결과 전기 작업을 한 작업자는 모두 관련 자격증이 있었고 배터리 작업자도 현재까지 특이사항은 없다”며 “다만 자격증이 없어도 되는 작업이 있는데 이 부분은 계속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은 현재까지 관계자 조사 결과 ‘비전문가’는 없다고 했다. 중대본은 ‘전문기술자’가 작업했다고 발표했으나 경찰은 전기기사 등 자격증 소지 여부를 비롯, 관련 작업·경력 등도 조사 중이다. 당시 UPS 배터리 및 배터리 재배치 전기공사 작업엔 조달청 입찰로 들어온 대전·경기지역 업체 1곳씩 등 3개 업체 소속 8명이 투입됐다.

 

업계 일부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한 뒤 전선을 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뺐다가 전기 단락(쇼트)이 생긴 것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는 데에 무게를 싣고 있다.

 

경찰은 이날 4차 현장 정밀감식에서 화재가 난 5층 전산실을 3D스캐너로 입체 촬영하는 등 현장을 면밀히 살폈다. 안정화 작업 중이었던 나머지 배터리 3개도 잔류전기가 확인되지 않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