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을 다 지을 때까지 팔리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전국에서 두 달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 미분양 증가와 착공·인허가 감소가 두드러지면서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의 '8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613가구로 전월보다 7.0%(4369가구) 증가했다. 수도권은 1만 4631가구로 10.1%, 지방은 5만 1982가구로 6.2% 늘었다.

악성 미분양은 2만 7584가구로 1.9% 증가했다. 이 중 83.9%(2만 3147가구)는 지방에 집중됐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3702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남 3314가구, 경북 3237가구, 부산 2772가구 순이었다. 전북(464가구), 부산(205가구), 강원(178가구)에서도 신규 악성 미분양이 발생했다.
주택 공급지표도 인허가·착공·준공이 일제히 감소하며 둔화했다.
8월 주택 인허가는 1만 7176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39.9% 감소했다. 수도권은 7546가구, 지방은 9630가구로 전년 대비 각각 53.5%, 22.0% 줄었다. 서울은 1627가구로 72.4% 급감했다.
착공도 1만6304구로 전년 8월 대비 44.2% 줄었다. 수도권은 9012가구, 지방은 7292가구로 각각 57.8%, 7.1% 줄었다. 준공은 2만8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52.8% 감소했다. 수도권이 1만459가구, 지방 9559가구로 각각 62.3%, 34.8% 후퇴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3만4868건)는 지난 7월보다 30.2%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4154건)이 51.0%, 수도권 전체(1만5125건)는 41.1% 줄었다.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6·27 대책의 여파가 지난달에도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전월세 거래는 전국 21만3755건으로, 7월보다 12.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세 거래량(7만2573건)은 17.6%,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등을 포함한 월세(14만1182건)는 9.5% 줄었다.
국토부는 향후 주택건설실적 통계의 공표 방식을 ‘잠정치-확정치’ 방식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미 공표된 통계치와 실제 공급되는 물량 간에 정확히 일치될 수 없는 근본적 한계가 존재해 왔다”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통계를 제공하고자 민간 통계 전문가로 구성된 통계 개선 위원회의 자문과 통계청 승인을 거쳐 주택건설실적 통계를 ‘잠정치-확정치’ 방식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