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29일 서부신시가지 옛 대한방직 부지에 추진되는 ㈜자광의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사업’ 주택건설 사업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지난 2018년 5월 업체가 사업계획서 사전협의를 신청한 지 7년 4개월여 만이다.

전주시는 공공 기여와 지역 사회 공헌, 철저한 사업 계획 이행을 거듭 주문했지만, 3.3㎡(1평)에 2500만~3000만원으로 예상되는 초고분양가와 주변 교통 혼잡, 초고층 타워 건립을 둘러싼 시민들의 회의적 시각이 여전하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전은수 ㈜자광 대표이사에게 주택사업 계획 승인서를 교부하고 당초 약속한 공공기여·지역사회 공헌을 재차 당부했다고 밝혔다.
우 시장은 이 자리에서 “지역 관광 효과 극대화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전 대표는 “사업 승인은 지역과의 공감대가 만든 성과”라며 “전주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초고층 타워 건립이 과연 필요한지 의문을 제기한다. 대규모 고층 아파트 건립 또한 예상 분양가가 전주 최고 수준을 크게 웃도는 데다, 단지 일대 교통대란과 주변 환경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특히 자광이 지역 공헌사업으로 제시한 3000억원대 이익 사회환원 방안도 논란이다. 시와 자광이 합의한 공공기여 규모는 3855억원이지만, 주된 사용처가 개발지 일대 지하 차도 개설과 삼천천 교량 가설 등 단지 접근성 개선에 집중돼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입주민 편의에 국한돼 전주시민 전체가 체감할 공공성은 부족하고, 교통 대란 등의 여파는 전체의 피해를 낳는 셈이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주 관광타워 복합개발은 완산구 효자동 옛 대한방직 부지 23만㎡에 주거·관광시설을 포함해 총 6조원이 투입될 예정인 대형 프로젝트다. 470m 높이 153층 타워를 비롯해 49층 높이에 중대형 평형(114.8~321.3㎡) 중심의 주상복합 아파트 10개동(3395세대), 34층 오피스텔 1개동(558세대), 15층 규모 호텔(200실), 5층 규모 복합쇼핑몰 등을 지을 계획이다.
업체는 지하 안전평가와 구조 안전 심의 등을 거쳐 연내 착공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공사는 건설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주시는 이번 사업이 “지역 관광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고분양가와 공공성 부족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 한 사업 추진 과정에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