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가동 중단 초유 사태
647개 중 551개 완전히 복구 안 돼
관공서·금융권 전방위 피해 우려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 대부분이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로 대국민 서비스부터 금융·물류까지 전방위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24·온나라 등 핵심 행정 시스템과 주민등록·여권 본인확인 서비스가 줄줄이 중단돼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추석 연휴를 앞둔 우체국 물류 대란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발화원인으로 지목된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용 연한이 지나 논란인 가운데, 정확한 화재 원인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당국의 합동 감식을 통해 규명될 전망이다.
행안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28일 오후 10시 현재 국정자원 대전 본원의 647개 시스템 중 화재 영향을 받지 않은 551개 시스템의 완전한 재가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행안부는 26일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5층 7-1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정보 시스템 안전을 위해 전체 행정 업무 시스템 가동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정부24 등 대국민 서비스 436개에 공무원들이 쓰는 내부망인 온나라 시스템 등 211개가 멈춰 섰다.
국민 생활과 직결된 은행 업무 등에 차질이 생기면서 불편이 더욱 커지고 있다. 추석 명절을 앞둔 금융권에서는 모바일 신분증 발급과 주민등록증·여권을 통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중단돼, 현재는 실물 운전면허증으로만 신원 확인이 가능한 상황이다. 또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대출 한도 조회·서류 제출 등이 차질을 빚고 있다.
보건·복지 정보시스템 마비도 심각하다. 복지로·e하늘장사정보·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연명의료 등 주요 대민 서비스 접속이 중단돼 각종 신청과 조회가 불가능하다. 복지부는 수기 접수로 대응 중이나 임신·출산 바우처 신규 신청은 전면 중단됐다. 당장 지급 차질은 없지만 복구 지연 시 월요일부터 민원 폭주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7일간의 추석 연휴와 맞물려 물류 및 행정 대란도 우려된다.
다만 우체국 금융 서비스는 28일 오후 9시부터 재개됐고, 우편 서비스는 29일 오전 복구를 목표로 점검 중이다. 재정정보시스템도 복구돼 국고금 수납과 자금 이체는 정상화됐다.
앞서 행안부는 전날 위기 경보 수준을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중대본을 가동했다. 금융 당국은 금융사들에 “국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부적인 금융 서비스 장애 내용과 대체 거래 수단을 상세히 안내하라”고 했다.
국정자원 백업 시스템이 실시간으로는 이뤄지지 않는 만큼, 일각에선 일부 데이터 손실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대국민 서비스는 대부분 1·2등급 정보로 하루 한 번씩 백업돼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전담 수사팀을 꾸려 발화 원인으로 지목된 UPS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 여부 등을 조사 중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