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다음 역은 ㅇㅇ”… 서울지하철 29년의 목소리, AI로 바뀐다

입력 : 2025-09-28 19:13:57 수정 : 2025-09-28 19:13:56
김세희 기자 saehee0127@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성우 투병에… 지하철역 안내방송 AI로 대체
AI 음성 합성 이질감 최소화
서울교통公 6호선 시범운영
“다음 역은 ○○, ○○역입니다”, “지금 ○○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1996년부터 29년간 서울지하철 안내방송을 전담하던 강희선 성우의 목소리다. 그러나 강 성우가 암 투병을 하게 되면서 인공지능(AI)이 업무를 대신하게 됐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열차 내부 모습. 연합뉴스

28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음성 안내방송 서비스는 총 26종이다. 한국어 자동 안내방송 성우 녹음은 강 성우가 전담해 왔다. 방송 문안을 보고 강 성우가 스튜디오에서 음원을 녹음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가운데 강 성우가 암 투병을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강 성우는 지난해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나와 암 투병 사실을 알렸다.

이에 따라 서울교통공사는 안내방송 녹음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강 성우를 대신할 새 성우 대신 AI 음성 합성(AI TTS)이 투입된다. 공사는 AI 음성 합성의 장점으로 성우 건강 등 외부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 시스템, 문구 입력 즉시 음원 생성 가능 등을 꼽았다.

실제 성우 녹음에는 약 2500만원이 들고 방송까지 2∼3주가 걸린다. 그러나 AI 음성 합성을 활용할 경우 비용은 500만∼1250만원이 들고 소요 기간은 하루 이내다. 앞서 한국철도공사와 경전철인 신분당선, 신림선, 김포골드라인 등에 이미 AI 음성 합성이 도입됐다.

공사는 앞으로 승객이 적은 6호선 또는 한국철도공사와 공동으로 운행하고 있는 3·4호선에 AI 음성 합성을 시범 운영할 방침이다. 성우 음성이 학습된 방송으로 이질감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