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전 국정자원 화재 원인 수사 본격화…경찰, 전담수사팀 구성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9-28 13:43:51 수정 : 2025-09-28 13:46:19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경찰이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대전경찰청은 전담수사팀을 꾸려 무정전 전원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한 이유를 규명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대전경찰청은 28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전날 오전 소방당국이 초진을 선언한 뒤 이뤄진 첫 번째 감식에 이어 두 번째다. 

28일 오전 대전경찰청·소방·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합동감식반 관계자들이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뉴스1

강재석 대전청 과학수사계장은 “전날 현장 감식에서 증거물을 신속하게 확보해 감정 의뢰했다”며 “오늘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광범위한 합동 감식을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전날 일부 시설 구성품을 확보해 감정 의뢰했다. 전산실에서 반출해 수조에 담가둔 배터리들은 2∼3일가량 잔류 전기를 빼내는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할 방침이다. 

 

대전청은 사안의 중대성과 신속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김용일 형사과장(총경)을 팀장으로 20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발족했다. 

28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 소실된 리튬이온배터리가 소화 수조에 담겨 있다. 뉴스1

전담수사팀은 불이 난 ‘무정전 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리상 문제나 안전조치 미비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행안부와 국정자원에 따르면 지난 26일 작업자 13명이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 서버와 함께 있던 UPS용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을 하던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하던 업체 직원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화재 원인으로는 배터리 노후화와 함께 배터리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작업 실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가 소화수조에 담긴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화재 원인이 된 UPS용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이 제작업체로, 2014년 8월 국정자원에 납품했다. 권장 사용연한인 10년을 1년가량 넘긴 상태였다.    

 

업계 일부에서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전선을 뺐다가 전기 단락(쇼트)이 생긴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국정자원은 전날 현장 브리핑에서 “전원을 끊고 40분 뒤에 불꽃이 튀었다”고 설명했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 서비스 복구가 최우선인 만큼 복구 현황을 살피면서 정밀감식 등으로 사고 경위와 화재 원인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