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적정 생활비 월 350만원
실제 조달가능금액은 월 230만원
최소생활비 248만원에도 못 미쳐
우리나라 국민은 은퇴 후 노후 적정생활비가 월 350만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실제 조달가능금액은 월 230만원으로 최소생활비(248만원)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가 “잘 돼 있다”고 답한 가구는 5명 가운데 1명 꼴로 매우 적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를 공개했다. 올해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전국 25∼74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후 기본적 의식주 해결만을 고려한 최소 생활비는 평균 월 248만원, 여행·여가 활동 등으로 지출할 수 있는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같은 조사 당시 결과와 비교하면 최소·적정 생활비가 각 3만원, 19만원 줄었다.
설문 대상자들은 현재 가구 소득과 지출, 저축 여력 등을 고려할 때 조달할 수 있는 노후 생활비는 평균 월 230만원 뿐이라고 답했다.

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최소 생활비(248만원)에도 못 미칠 뿐 아니라, 적정 생활비(350만원)의 65.7% 수준에 불과하다. 제대로 노후를 즐기며 살기에는 120만원이나 부족한 셈이다.
노후 생활비 조달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국민연금(88.6%), 금융소득(50.2%), 근로소득(47.5%), 개인연금(47.8%), 퇴직연금(42.2%) 등이 꼽혔다.
노후 행복의 중요 요소로는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8.6%가 ‘건강’을 꼽았다. 이어 ‘경제력’(26.3%), ‘여가생활’(9.5%), ‘가족·지인관계’(8.4%), ‘사회활동’(7.3%) 순이었다.
종합적인 노후준비 정도를 묻는 질문에 ‘노후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19.1%에 불과했다. 2년 전 조사에서 같은 항목에 대한 응답 결과(21.2%)에 비해서도 2.1%포인트 낮아졌다.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는 의미다.

부동산을 활용한 노후 준비 인식도 조사됐다. 주택연금을 인지하는 비율은 92.2%였으나 실제 가입 의향은 32.3%에 그쳤다. 주택연금은 최소생활비보다 적정생활비 보완 수단으로 인식됐다. 주택을 줄여 마련한 자금을 생활비로 쓰겠다는 ‘다운사이징’ 의향은 59.7%로 나타났다.

아직 은퇴하지 않은 2401명이 원하는 퇴직 연령은 평균 65세였다. 그러나 이미 은퇴한 503명의 실제 퇴직 나이는 희망보다 9년이나 이른 평균 56세였다. 경제적으로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평균 나이는 48세로 조사됐다.
황원경 KB금융경영연구소 부장은 “한국 사회는 이미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었지만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며 “주택을 투자나 상속의 대상이 아니라 노후 자금으로 인식하고 활용해야 노후 불안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