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0 1만명·기업 등 조사 결과
구직 목적 1위 ‘생계 유지’ 꼽아
평균 희망임금 월 381만원 수준
기업선 200만∼300만원대 괴리
중장년 취업사관학교 신설 필요
은퇴는 50세 전, 연금은 65세 이후. 한국 2000만 중장년(만 40∼64세)이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는 ‘15년의 공백’이다. 이들 중장년은 여전히 일하고 싶고, 경험으로 축적된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퇴직 전후 ‘일자리 절벽’에 맞부닥치는 셈이다. 가속화하는 인구 고령화 추세 속에서 경제성장률 하락을 막기 위해서는 중장년 노동력 확보를 위한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따르면 전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서울시 중장년 정책포럼 2025’에서 서울시와 재단은 중장년 일자리 정책을 선도하기 위해 데이터에 기반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재단은 이날 포럼에서 중장년 구직자 1만명과 기업 450곳을 대상으로 한 역대 최대 규모의 일자리 수요 조사 결과를 처음 공개하며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조태준 서울대 교수(산업인력개발학)가 발표한 ‘서울시 중장년 일자리 수요조사’에서 서울의 중장년 약 350만명 중 83%인 289만명이 5년 내 경제활동 변화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구직 목적 1순위는 ‘생계유지(82.3%)’였다. 이어 개인의 자아실현(64.40%), 사회활동 참여(60.50%), 개인적 취미나 관심 충족(53%), 사회적 명예나 지위 획득(48.70%) 등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요건으로 가장 중요한 것 역시 임금 수준(62.3%)이었다. 고용형태 및 시간(11.1%), 직장과의 거리(8.5%), 업무 강도 및 내용(8.0%), 직무 분야(5.6%), 4대 보험 제공(4.5%)이 뒤를 이었다.
중장년 일자리 생태계는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인해 지자체 등에서 적절한 ‘매칭’을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도 재확인됐다. 중장년 평균 희망 임금은 381만원, 현실적으로 수용 가능한 임금은 331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경영학)가 발표한 ‘기업 수요조사’에서는 중장년 정규직 채용 의향이 57.1%였으나 제공 가능한 임금은 대부분 200만원대(42.1%), 300만원대(32.9%)였다. 중장년 구직자와 기업 간의 눈높이 차이가 상당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중장년 정책에 세대별 맞춤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조 교수는 “중장년의 75%는 기존 경력을 유지하고 싶어하고 70%는 재택근무를 선호하지만, 실제 기회는 제한적이라는 미스매치가 가장 큰 장애물”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장년 취업사관학교’ 같은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춘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같은 중장년 일자리 전담기관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정 교수는 연령대별 차별화된 직업교육 프로그램 등을 강조하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특화된 중·고령 일자리 사업을 추진할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철희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긴 노동생애를 준비하기 위한 4050 대상 교육·훈련, 전직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며 “고령 친화적인 일자리, 중장년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영섭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이날 ‘개인의 경력 진단-맞춤형 훈련-기업의 일자리 확대’로 이어지는 3단계 선순환 구조의 ‘서울형 일자리 생태계 로드맵’을 발표했다. 강소랑 서울시50플러스재단 팀장은 중장년 고용창출의 확대, N차 취업시장의 안착 지원, 생애주기 기반 경력 전환 지원체계 구축 등 중장년 경제활동 활성화를 위한 5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