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500억 달러(약 487조원) 규모 대미투자 협상 과정에 대해 미국의 요구에 동의했다면 탄핵 당했을 것이라고 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이 조성하기로 한 3500억 달러 투자 펀드에 대해 이 대통령이 거절했다는 뜻이다.

이 대통령은 18일 공개된 미국 시사잡지 타임지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과 진행한 무역 협상과 관련해서 미국의 요구조건들이 너무 엄격했다고 전하며 “그것을 받아들였다면 탄핵 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은 우리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조건으로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중 대부분을 현금 출자 방식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인터뷰는 이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지난 3일 서울에서 진행됐다.
타임은 이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서 합의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문제를 주로 이야기했다고 분석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북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 외에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 진전에 대해선 “대북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는 협상을 통해 단계적 프로세스—핵 활동 중단, 축소, 최종 비핵화—를 추진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한·중 관계에 대해 “우리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는 한·미 동맹에 기초한다”면서도 “우리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 관계와 경제적 유대, 인적 교류가 있기 때문에 중국과의 관계를 완전히 끊을 수는 없다.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해야 한다. 서방 세계도 이를 이해할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가장 큰 성과로 국내 정치 상황 안정을 꼽았다.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해선 “매우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리 경제를 다시 성장 궤도에 올려놓고 국민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국민은 불굴의 의지를 가지고 있다”며 “우리 앞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겨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논란이 됐던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윤미향 전 의원 사면에 대해 “모든 일에는 양면이 있다”며 “여론이 분열될 것을 알았지만 필요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