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韓 노동자 강제동원 인정 안 해
이재명정부도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다. 일본측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 동원의 강제성이 제대로 담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윤석열정부에 이어 두 번째 불참이다.

정부 관계자는 4일 취재진과 만나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일본 측 추도사가 걸림돌이 됐다. 그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강제성 표현을 두고 양국의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애도를 위해 마련된 자리인 만큼 그 고난의 근본적인 원인과 성격이 무엇인지가 추모사에서 다뤄져야 한다고 봤다. 하지만 일본 측이 제시한 표현은 이를 충분히 담지 못했다고 해석된다. 짧지 않은 기간 적극적으로 협의에 나섰지만 일본과 표현의 수위에 있어 합의에 다다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올해 사도광산 추모식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13일 열린다. 추도식은 사도광산이 지난해 7월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처음 논의됐다. 한국은 등재를 위해서는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동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노동자 추도식을 열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전시에 노동 강제성 관련 표현이 빠지면서 한·일 양국은 평행선을 달려왔다.
한국은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방침이다. 지난해 첫 추도식은 정부 관계자와 한국 유족이 빠지면서 ‘반쪽짜리’ 행사에 그쳤다. 한국은 별도로 다음날 사도광산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행사를 열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