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중 소식 담긴 사진 46장 보도
북·중·러 정상 ‘스리 샷’ 부각시키며
강대국 못지않은 김정은 위상 과시
동행한 딸 주애 사진은 게재 안돼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 하루 만인 4일 관련 소식을 주민들에게 대대적으로 전했다.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모습을 부각했다. 외교무대에서 김 위원장의 위상이 강대국 지도자에 버금간다는 점과 북한이 중국, 러시아 같은 ‘강성대국’의 길로 접어들었음을 주민들에게 선전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김 위원장과 함께 방중한 딸 주애의 모습은 이날 신문에 실리지 않았다.
노동신문은 4일자 지면에 김 위원장이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다고 대서특필했다. 총 6개면 중 1∼3면을 김 위원장 방중 소식으로 채웠다. 사진만 46장 실어 화보를 방불케 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북한 주민들의 필독 매체다.

신문은 1면 우측 상단에 김 위원장이 톈안먼 망루에 시 주석을 사이에 두고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서서 박수를 치는 사진을 배치했다. 하단엔 열병식에 참석한 20여개국 정상급 지도자들과 촬영한 단체 기념사진이 실렸다. 김 위원장은 의전서열 2위 자리인 시 주석 부부 바로 왼편에 자리했다.
글 기사 없이 사진으로만 채워진 2면에선 북·중·러 정상의 ‘스리 샷’이 더 부각됐다. 특히 김 위원장이 각국 지도자들을 뒤에 둔 채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일렬에서 레드카펫을 걷는 사진이 많았다.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담소를 나누고, 시 주석이 김 위원장의 팔을 가볍게 만지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담겼다. 김 위원장이 망루 위 시 주석 옆자리에서 뒷짐을 지고 열병식을 지켜보는 사진도 실렸다.
이날 신문 지면을 봤을 때 김 위원장, 시 주석, 푸틴 대통령이 한 컷에 잡힌 사진은 22장에 달했다. 주민들에게 북·중·러 3국의 밀착 관계와 김 위원장이 강대국 지도자들과 어깨를 견주는 위치로 발돋움했음을 선전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이 망루 위에서 중국 노병들에게 웃으며 몸을 기울이는 ‘외교적 제스처’를 취하는 사진도 있었다. 김 위원장이 다자외교 데뷔 무대를 성공적으로 치렀음을 과시하려는 의도다. 3면 상단에선 열병식 행사 뒤 열린 리셉션 행사 사진을 전했는데, 여기에서도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입장해 상석에 앉아있는 모습이 부각됐다.

3국 협력뿐 아니라 김 위원장이 중·러 각 정상과의 양자 관계가 돈독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진 또한 많았다. 1면에 김 위원장이 시 주석과 두 손을 맞잡고 활짝 웃는 사진, 시 주석의 배우자 펑리위안 여사와 인사를 나누는 사진을 실으며 한동안 소원했던 중국과 관계가 회복됐음을 알렸다. 3면 하단에선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양자 정상회담 사진을 기사와 함께 전했다.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전용 리무진 ‘아우루스’를 타고 회담장으로 이동하는 모습과 두 정상이 회담 뒤 포옹하는 모습도 실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