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한국의 산림정책과 산불 등 산림재난 현장 대응 지식을 콩고민주공화국에 전수했다.
산림청은 4일 청사를 콩고민주공화국 방문단에게 녹화 성공사례, 산불 등 산림재난 대응 시스템을 공유했다.

콩고공화국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5일까지 산림청 초청으로 산림재난 현장 대응 역량 초청 연수를 와있다. 대표단은 콩고공화국 환경지속가능개발부 토이람베 바모닌가 벤자민 차관 등 산림공무원과 시민단체, 학계 등 12명이다.
이번 연수는 아시아산림협력기구-유엔개발계획(UNDP) 간 초청연수 이행을 위한 협약(LoA)에 따른 것이다.
유엔개발계획과 한국국제협력단(KOICA)은 콩고공화국 오트우엘레주 산림전용 및 황폐화 방지를 통한 통합적 기후변화 대응사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콩고 대표단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사업 사업 등 기술과 국제 산림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는 산불 대응을 위한 산불상황관제시스템, 산불진화헬기 운용 영상을 직접 확인하는 등 산불, 산사태, 산림병해충 등 산림재난에 대한 24시간 실시간 통합 대응 시스템을 경험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 발생 상황을 가정해 실제 진화 작업을 확인했다.
대표단은 산불확산예측시스템과 중부지방산림청의 고성능 진화차를 활용한 산불 진화, 공중·지상 진화 연계 전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 운영 등을 직관하는
토이람베 바모닝가 벤자민 차관은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본 인공지능(AI) 기반 정보통신기술 플랫폼을 활용한 첨단 감시체계와 산불 상황 발생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지휘 체계가 인상 깊었다”며 “콩고민주공화국은 건기에 산불 위험이 커지는데 한국의 산불대응 기술을 잘 전수받아 가겠다”고 말했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기후위기로 산불 등 산림재난이 점차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국제협력은 필수적”이라며 “콩고민주공화국 등 국제사회와 산림정책 협력을 강화해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