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대출 부실의 영향으로 상호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계속 오르고 있다.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6월 말 새마을금고의 PF 등 기업대출 연체율은 12.97%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10.41%에서 2.5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2023년 말 7.74%와 비교하면 1년여 만에 5%포인트 넘게 올랐다.

신협과 농·수협, 산림조합 등 기타 상호금융기관들의 기업대출 연체율도 6월 말 8.48%를 기록해 지난해 말(6.75%)보다 1.73%포인트 늘었다.
기업대출 연체율 증가에 따라 전체 연체율도 함께 올랐다. 새마을금고의 6월 말 전체 대출 연체율은 8.37%로, 2005년 6월 말(8.87%)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말 6.81%에서 올해 들어 1.56%포인트 증가했다.
기타 상호금융기관의 대출 연체율은 5.7%로 작년 말(4.54%)보다 1.16%포인트 올랐다. 이중 신협 연체율은 8.35%로 지난해 말(6.03%)에서 2.32%포인트 뛰어 2009년 6월 말(8.3%)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농협은 4.7%, 수협은 7.82%로 각각 작년 말 대비 0.82%포인트, 1.08%포인트씩 상승했다.
수익성 악화도 지속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 1조328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반기 기준으로는 1963년 설립 후 최대 규모다. 작년 상반기에도 1조2019억원 손실을 냈고, 연간으로는 1조7423억원까지 확대됐었다.
신협도 올해 상반기 3333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수협(-1392억원), 산림조합(-439억원) 역시 손실을 냈으며, 농협(9340억원 흑자)을 빼고는 모든 기관이 적자를 면치 못했다.
이처럼 상호금융권 위기가 부각되는 가운데 관리·감독 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2일 국무회의에서 “새마을금고가 관리·감독 사각지대”라고 지적한 바 있다. 현재 상호금융권은 담당 부처가 농림축산식품부(농협), 행정안전부(새마을금고), 해양수산부(수협) 등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를 일원화해 관리 체계를 다듬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