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만 46장… 북·중·러 관계 부각
시진핑과 ‘활짝’ 푸틴과 ‘카풀’ 사진
美 타격 ICBM도… 김주애는 안 보여
북한 노동신문은 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한 모습을 대서특필했다.
총 6개면 중 1∼3면을 김 위원장의 방중 소식으로 채워 주민들에게 이를 대대적으로 알렸다. 사진만 46장 실려 화보집을 방불케 했다.

1면 우측 상단엔 김 위원장이 베이징 톈안먼 망루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사이에 두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서 박수를 치는 사진이 배치됐다.

2면은 글 기사 없이 사진으로만 채워졌다. 2면 첫 번째 사진은 김 위원장이 웃으며 시진핑 주석, 푸틴 대통령과 망루로 향하는 모습이 담겼다. 김 위원장이 망루 위 시진핑 주석 옆자리에서 뒷짐을 지고 중국 열병식을 지켜보는 사진도 2면에 실렸다.

주민들에게 김 위원장이 강대국 지도자들과 어깨를 견주는 위치로 발돋움했음을 선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눈에 봤을 때 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 푸틴 대통령이 한 컷에 잡힌 사진이 22장 실렸다. 김 위원장이 망루 위에서 중국 노병들에 웃으며 몸을 기울이는 모습도 전하며 다자외교 데뷔 무대를 원만히 치렀음을 선전했다.

3면 상단에는 열병식 행사 뒤 열린 리셉션 행사 사진이 담겼는데, 이 역시 김 위원장이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입장해 상석에 앉아있는 모습이 담겼다.
또 1면에 김 위원장이 시 주석과 두 손을 맞잡고 활짝 웃고 있는 사진, 시 주석의 배우자 펑리위안 여사와 인사를 나누고 있는 사진을 실으며 한동안 소원했던 중국과 관계가 회복됐음을 알렸다.


3면 하단에선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의 양자 정상회담 소식을 전했다.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전용 리무진 ‘아우르스’를 타고 회담장으로 이동하는 모습과 두 정상이 회담 뒤 포옹하는 모습이 실렸다. 북·러 관계가 변함없이 공고하다는 점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또 이번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된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중국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DF)-61과 최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JL)-3이 톈안문 광장을 지나는 모습도 노동신문에 게재됐다. 김 위원장과 함께 방중한 김주애의 모습은 이날 신문에 실리지 않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