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예산 5조대 배정… 숨통 트이길
李정부 출범만으로 경제 긍정 시그널”
김병기, 경제 6단체 주요 인사들 만나
“배임죄 등 경제형벌 개선 의견 수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경제계와의 접촉면을 확대하고 있다. 대기업에서 중소기업까지 가리지 않는다. 민생경제 행보 일환으로 평가된다. 3일 정청래 대표는 경제계 첫 일정으로 소상공인단체를 만나 지원을 약속했고 김병기 원내대표는 경제 6단체장들과 만나 배임죄·상법 개정안 등 재계 관련 사항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을 찾아 정책간담회를 가졌다. 정 대표는 소상공인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2023년 기준 국내 기업의 99.1%가 중소기업이고, 전체 종사자의 81%를 차지한다”며 “우리나라 경제를 차지하는 비중이 대기업이 크다 할지라도 전체 고용이나 수 보면 중소기업, 소상공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고 했다. 이어 “최근 소비쿠폰 정책으로 전통시장에서 매출이 30% 늘었다는 현장 얘기를 들었다”며 “정부가 내년도 소상공인 예산을 5조5000억원을 배정했는데 부족하다고 느끼실 수 있겠지만,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22일부터 지급되는 정부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거론하며 “지난번 (1차) 소비쿠폰이 마중물이었다면, 이번에는 좀 더 물이 ‘콸콸’ 나오는, 경제계에 활기가 넘치도록 하는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재명정부가 출범한 것만으로 경제계엔 긍정의 시그널을 줬다”면서 “주가도 3200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고 시총이 700조원 늘었다고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간담회에서 △중소벤처기업부 내 소상공인 전담 차관 신설 △소상공인연합회 정책연구소 설립 △근로기준법 5인 미만 사업장 적용 확대 유보 △소상공인 디지털·인공지능(AI) 전환 △폐업 소상공인 지원 확대 등의 정책과제를 전달했다. 정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인적으로 폐업하시는 분을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폐업하는 사람들은 속도 상하지만 손해도 본다. 철거를 제대로 하지 못할 정도로 돈이 없는 경우는 우리가 더 많이 보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제인협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 6단체 주요 인사들과 만났다.

허영 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경제 6단체가 배임죄와 관련해 △형법상 배임죄 폐지 또는 축소 및 상법상 배임죄 폐지 △특정경제법상 배임죄 폐지 △형법에 경영 판단의 원칙 명문화 등을 반영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원내대표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개인의견을 전제로 배임죄 폐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허 수석은 “김 원내대표는 당내 경영 판단의 원칙을 명문화하자는 의견과 배임죄 자체를 폐지하자는 의견이 다양화돼 있기 때문에 경제계 의견을 충분히 듣고 경제형벌합리화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최선의 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