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이 미래형 재난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R&D) 예산을 지난해보다 65% 늘렸다. ‘국민의 안전을 두텁게하고, 첨단 소방장비 도입에 필요한 소방 R&D 역량을 강화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조치다.
소방청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으로 총 3295억원을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전체 예산은 지난해(3311억원)보다 0.5% 줄었지만 국립소방병원 건립 등 완료된 사업을 제외하면 744억원이 늘었다는 게 소방청의 설명이다.

특히 R&D예산은 지난해보다 64.9% 증가한 503억원이 배정됐다. 예산은 △미래인프라 화재위험 대응을 위한 소방 기술개발 △기후위기형 복합재난 대응 기술개발 등 총 17개 사업에 쓰일 계획이다.
중앙119특수구조대에는 182억원이 편성됐다. 재난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특수 소방장비 예산으로 산불 진화를 위한 중형헬기 1대, 초대형 물탱크 차량 4대, 고성능 화학차 2대를 도입하는 데 반영된다. 중용량포방사시스템도 전국 4개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화학센터에 보급한다.
재난 현장에 계속 노출되는 소방공무원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보건 안전사업 예산 51억원도 배정됐다. 이 예산은 ‘찾아가는 상담실’ 상담사 18명을 추가 배치하고, ‘스트레스 회복력 강화 프로그램’ 참여자 200명을 확대하는데 쓰인다.
내년 6월 정식 개원을 앞둔 국립소방병원에는 394억원이 투입된다. 국립소방병원은 소방공무원의 직무 관련 상병 치료와 유해인자 노출 관리 등을 전담하는 국가 최초의 소방 전문 의료기관이다.
별도 재원으로 9775억원도 확보됐다. 여기엔 소방심신수련원 건립을 위한 국유재산관리기금 144억원, 구조·구급장비 확충을 위한 응급의료기금 422억원, 소방안전교부세 9209억원이 포함됐다.
전국 노후아파트 149만8000세대에 연기감지기를 보급하는 데 쓰일 예산도 편성됐다. 해당 사업은 내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된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산립 인접 마을 2280곳에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는 예산도 담겼다.
오승훈 기획조정관은 “이번 예산안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민생 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고, 첨단 기술을 접목해 미래 재난에 대비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