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주요 보건의약단체장과 만나 “지역∙필수∙공공의료(지∙필∙공) 강화가 최대 정책 목표”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국민∙의료계와의 신뢰 회복을 우선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연 보건의약단체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지난 7월 직을 맡은 정 장관이 6개 주요 보건의약단체장과 만난 건 처음이다. 간담회에는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 이성규 대한병원협회장, 박태근 대한치과의사협회장,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장, 황금석 대한약사회 부회장, 신경림 대한간호협회장 등이 참석했다.
정 장관은 “의료계와 정부 간의 갈등으로 1년 반 이상 불편과 불안을 겪으신 국민과 환자께는 송구하고, 비상 진료 대책을 추진하시느라 많은 수고를 하신 의료진께는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어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국민, 의료계, 정부가 신뢰를 가지고 사회적 합의를 해나가는 과정”이라며 “보건의약 단체들과의 긴밀한 소통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와 다양한 방식으로 협의하며 제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정부에서 만들어진 계획과 새로운 국정 과제들을 종합해 보건의료 기본계획을 정리하고, 시민들이 참여해 공론화를 하는 과정과 의료개혁을 제도화하는 ‘투트랙’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재명정부의 주요 보건의료 정책 목표로 ‘지필공’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보건의료 분야 핵심 과제는 지역의료 격차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필수의료를 어떻게 확충할 것인지, 공공의료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로 수렴이 된다”며 “여기에 많은 가치와 할 일이 담겨 있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내년부터 시행되는 지역사회 의료통합돌봄, 신종 감염병 대응,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 디지털 헬스 기술 발전, 첨단재생의료 확대 등을 강조하며 단체들의 협조를 촉구했다.
이날 각 단체는 보건의료 현장의 고충을 토로하면서 주기적으로 만나 현장의 의견을 들어 달라고 요청했다. 정 장관은 의견을 청취하며 해결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