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7년만에 파업에 나선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에서 회사 측이 2차례 제시안을 내놨지만, 조합원 기대에 못 미친다는 이유에서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나서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기록한 6년 연속 무분규 기록이 깨진다.
현대차 노조는 2일 노조의 의결기구인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3일부터 사흘간 부분파업하기로 결정했다. 3일과 4일에는 1·2조 근무자가 각각 2시간씩, 5일에는 4시간씩 공장을 멈춰세운다. 3일엔 총파업 결의대회도 열 계획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6월18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20차례 교섭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올해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성과급 회사 순이익의 30% 지급, 상여금 900%로 인상(현 750%) 등을 요구하고 있다. 최장 64세로 정년연장, 조합원 1인당 평균 2000만원인 통상임금 소급분 보상, 임금 삭감 없는 4.5일제 도입 등도 요구안에 담았다. 특히 정년 연장과 통상임금 보상은 회사 측이 수용하기 어려운 사안으로 꼽힌다.
회사 측은 이날 열린 교섭에서 기본급 9만5000원 인상과 성과금 400%+140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주식 30주 지급, 일부 수당에 통상임금 확대 적용 등을 담은 제시안을 내놨지만, 노조는 거부했다.
노조는 파업을 하면서 회사와의 교섭은 이어갈 계획이다.
노조는 이날 소식지를 통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현대차가 성과를 만들어 낸 노동자들의 몫을 외면해선 안된다”면서 “끝까지 단결하고 행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 측은 “교섭 안건에 대한 실질적 논의가 부족한데도 노조가 파업을 결정해 유감스럽다”면서 “불필요한 소모전을 지양하고 노사가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