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할 범정부 컨트롤타워 구성을 본격화한다. 정부의 핵심 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 실현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AI전략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대통령령은 기존 자문기구 성격이었던 위원회를 국가 AI 정책 컨트롤타워로 바꾸는 게 핵심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직접 국가 AI 거버넌스를 이끌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위원회는 앞으로 범부처 AI 전략과 관련 정책, 사업을 총괄·조율한다. AI 국가비전과 중장기 전략 수립, 정책과 사업의 부처 간 조정, 이행점검과 성과관리에도 나설 방침이다.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위원회 구성도 대폭 강화했다. 위원 수는 기존 45명에서 50명으로, 부위원장은 기존 1명에서 3명으로 각각 늘렸다. 이들 가운데 민간 부위원장 1명은 상근직으로 전환한다. 위원회 간사는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이 맡는다.
AI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위원회 산하에는 AI책임관협의회를 두기로 했다. 협의회 의장은 위원장이 지명한다. 책임관은 위원회 요청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명하는 차관급 공무원이나 광역자치단체장이 지명하는 부시장 또는 부지사로 구성한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은 "AI 정책의 전문성을 보유한 전담부처로서 모든 역량을 총결집해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우뚝 서도록 최선봉에서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