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중국발 저가철강 공세 및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철강산업 기반에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는 만큼 미국 트럼프 정부는 한국의 철강 관세를 대폭 낮춰 주길 촉구합니다"
이강덕 경북 포항시장이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국 철강 관세 부과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시위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날 이 시장은 미국 현지에서 김덕만 버지니아한인회장을 만나 지역기업의 북미 시장 진출과 경제·문화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백악관 앞에서 한국 철강산업의 어려움을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 시장은 "지난달 2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이 조치만으로는 복합 위기를 해소하기에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라며 "국제적 연대와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한 외교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포항은 중국발 저가철강 공세와 미국의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철강산업 기반에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경제의 근간이 흔들리면서 고용 불안과 인구 유출, 지역 소멸의 공포까지 확산되는 중이다.

이를 반영하듯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등 포항지역 '빅4' 철강기업이 낸 법인지방소득세는 2022년 967억원에서 2024년 154억원으로 급감했다.
현대제철은 철강 업황 부진으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자 지난 6월 초부터 포항2공장 휴업에 들어갔다.
포항2공장 직원과 자회사인 현대IMC 소속 직원 수백명이 희망퇴직하거나 당진이나 인천사업장으로 옮겼다.
포스코는 지난해 7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을 폐쇄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 1선재공장을 폐쇄했다.
선재와 철근 등을 생산하는 코스틸은 포항공장 가동을 중단했고 설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장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철강 분야가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한국 철강산업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산업인데, 동맹국에 50%라는 살인적인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영국처럼 최소한 25%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제한적 쿼터 예외를 적용해야 한다"면서 "무엇이라도 해야겠다는 심정으로 나선 오늘, 이 호소가 한미 간 신뢰와 협력을 토대로 국제사회의 호혜적 무역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했다.
김덕만 회장 역시 "버지니아한인회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포항시와 함께 한국 철강산업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철강뿐만 아니라 경제·문화 교류, 인재 교류 등 다각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한편, 포항시는 이날 캠페인을 시작으로 코트라(KOTRA), DGA Group 등과 연계한 후속 활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