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남녀의 평균 초혼연령이 지난 30여 년 동안 6세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 비율도 두 배 가까이 늘었지만 여전히 절반을 넘지 못했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27일 ‘광복 80년, 통계로 본 한국 사회의 변화상’을 발표하고 혼인·가구 구조·건강 지표 등 주요 사회 변화를 공개했다.
1990년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 27.8세, 여성 24.8세였으나 2023년에는 각각 33.9세, 31.6세로 높아졌다. 첫 결혼 시기가 20대에서 30대 초·중반으로 늦춰진 셈이다.
출산율은 1980년대 초반 이후 대체출산율(인구 유지 기준)을 밑돌았고, 2000년대 들어 초저출산이 20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가구 형태도 크게 달라졌다. 1990년만 해도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한 자릿수였으나 2023년에는 35.5%로 2세대 가구(40.1%)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3세대 이상 가구는 2.9%로 급감했다.
고령화와 생활양식 변화로 만성질환 유병률도 높아졌다. 비만은 1998년 26.0%에서 2023년 37.2%로 증가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2005년 6.6%에서 2023년 20.9%로 뛰었다.
사망 원인 1위인 암 발생자 수는 1999년 10만1856명에서 2022년 28만2047명으로 20년 새 약 3배 늘었다. 자살 사망률은 1983년 인구 10만 명당 8.7명에서 2011년 31.7명으로 급등한 뒤 2023년 27.3명으로 낮아졌으나, 여전히 OECD 국가 중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기준 70대(39.0명), 80세 이상(59.4명) 노인의 자살률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삶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졌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2003년 20.4%에서 2024년 40.1%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다만 절반에는 미치지 못한다. 같은 조사에서 ‘보통’은 47.2%, ‘불만족’은 12.7%였다.
행복감은 2013년 6.3점에서 2024년 6.8점으로 소폭 상승했고, 걱정과 우울감 지표는 같은 기간 4.5점·3.4점에서 4.1점·3.5점으로 다소 낮아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