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가 18일 “(내년) 6월 (선거에서) 국민의 선택을 구할 것”이라며 “어떤 경우든 저를 비판하는 분들을 포함해 정치적 선택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2026년 지방선거 또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출마하겠단 의중을 밝힌 것이다.

조 전 대표는 이날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지방선거 또는 보궐선거 등 어떤 선거에 출마할지는) 결정을 안 했다”며 “어떤 경우든 선택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차기 대선에 출마할지에 대해선 “내년 6월도 성급한데 2030년은 너무 먼 이야기”라며 “정치인으로서 조국의 자질과 능력, 경험을 쌓아갈 시간”이라고 했다.
그는 “일단 목표가 이재명정부의 성공이고 모든 초점은 국민의힘 심판”이라며 “국민의힘을 얼마나 소수로 만들 거냐, 주변화할 거냐를 (목표로) 해 놓으면 빈 공간이 생긴다. 그 공간을 누가 어떻게 차지할 지에 대한 문제는 그 다음”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재명정부는 조국혁신당이 지지하고 밀었던 후보”라며 “(우리 당은) 책임감을 갖고 움직일 것이고 과거 정의당처럼 절대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차별화하면서 존재감을 부각하는 행동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내년 지방선거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을 잘 안다”며 “2026년이든 2028년이든 국민의힘 후보가 서울시장 후보가 되는 것을 (우리가) 원하겠느냐. 그런 일은 절대로 하지 않을 테니 그 과정에서 조국혁신당이 어떻게 갈지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조 전 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의) 합당 문제는 저도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지난해 총선 때도 당을 만들지 말라고 하는 분들이 많았지만,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 전략이 성공했다”고 말했다.
자신에 대한 이 대통령의 사면∙복권 결정과 관련해선 “사면을 예상했다고 하면 건방진 이야기”라며 “이 대통령이 정치공학적 결정은 하지 않았다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 안에서도 (제 사면복권을) 반대한 분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그 견해도 받아들이지만 대통령은 그렇게 계산 안 했을 것”이라며 “제가 아는 대통령은 정면돌파 방식을 취했을 것”이라고 했다.
조 전 대표와 배우자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에 대한 광복절 특별사면을 놓고 여권 내부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민주당 윤준병 의원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조국 일가의 아빠 찬스 등 입시비리 범죄행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며 “윤석열에게 더 얻어맞았으니 사면하는 것까진 오케이(OK)지만, 사면을 입시비리의 용서로 이해하는 건 다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의 침묵을 조국의 아빠 찬스에 대한 ‘동의’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조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자녀 입시 비리 등 혐의가 유죄로 인정돼 징역 2년 실형을 확정받았다. 지난 15일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서울 남부교도소를 나온 조 전 대표는 “오늘 저의 사면·복권과 석방은 검찰권을 오남용해 온 검찰 독재가 종식되는 상징적 장면의 하나로 기억될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