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문 독창성·진정성은 전체 1위
중국에서 내놓은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키미(KIMI) K2’가 올해 초 출시돼 세계를 놀라게 한 딥시크 수준으로 성능이 뛰어나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19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국제 학술지 네이처지는 중국 AI 기업 ‘문샷 AI’가 공개한 키미 K2의 성능이 탁월하다며 이번 출시를 ‘또 하나의 딥시크 모멘트’라고 평가했다. 앞서 문샷 AI는 지난 11일 키미 K2를 공개하며 서구의 경쟁사들과 딥시크 일부 모델과 비교해 성능이 동등하거나 능가한다고 소개했다.
네이처지는 키미 K2의 성능 평가 결과 코딩 분야에서 특히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작문의 독창성과 진정성을 평가하는 항목에서는 AI 모델 중 1위를 기록했다. 네이처지는 중국에서 딥시크에 이어 6개월 만에 고성능 AI 모델이 출시된 것은 최근 중국의 AI 혁신이 지속적인 흐름에 있는 것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막스플랑크 광학연구소의 AI 연구를 이끄는 마리오 크렌은 네이처지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몇 달 안에 또 다른 게 나온다고 해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키미 K2는 딥시크와 마찬가지로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로드하고 수정, 배포할 수있는 오픈 웨이트 모델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2023년 3월 설립된 문샷 AI는 서구에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키미 초기 모델은 지난해 11월 기준 중국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챗봇이다. 문샷 AI의 창업자 양즈린은 1992년생으로, 칭화대 컴퓨터공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카네기멜런대 컴퓨터과학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천재 과학자로 알려졌다. 이후 페이스북 AI 리서치와 구글의 딥 러닝 AI 연구팀인 ‘구글 브레인’ 등을 거쳤으며, 현재는 칭화대 조교수로도 재직 중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