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임명으로 이재명정부의 외교·통상라인이 구축되면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과 관세 협상 등 한·미관계 현안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최우선 과제로 이르면 이달 말 미국을 찾아 관세 협상을 비롯한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한·미관계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조 장관은 관세 협상 종료 시한인 다음 달 1일 전에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등과 만난다는 방침을 세우고 미국 측과 조율 중이다. 관세 인상, 방위비 분담금 증액 요구,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 거론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의 안보·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압박을 연달아 가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막바지 관세 협상뿐 아니라 안보 패키지 논의 등 양국 간 현안을 두루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통상분야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역할이 주목된다.
이 대통령 취임 후 50일 가까이 일정이 확정되지 않고 있는 한·미 정상회담 조율도 숙제다. 정부는 당초 지난달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 계기로 첫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기대했지만 중동사태 등의 영향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정부는 이달 내 정상회담 개최도 염두에 뒀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25∼29일 스코틀랜드를 방문할 예정이어서 한·미 정상의 첫 대면은 일러야 내달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관세 협상을 위한 방미 일정을 조율 중이다. 박용만 전 두산그룹 회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미 특사단도 23일 방미할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