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명물 美 샌프란시스코 트램 사례 공유
제주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이 제주의 지속 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친환경 트램 ‘타젠’ 플랫폼을 제안했다.
29일 제주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에 따르면 최근 제주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창의적이고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를 선보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변화된 관광 수요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를 통해 ‘경험 중심·지속 가능·슬로우케이션’ 여행 흐름에 맞춘 서귀포 관광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타젠’을 제시했다.
‘타젠’은 서귀포시 주요 관광지를 스마트하게 연결하는 트램 네트워크다. 관광객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귀포매일올레시장, 이중섭거리, 천지연폭포, 새연교 등 서귀포 주요 관광지를 연결해 관광객에게는 편리한 이동 경험을, 지역사회에는 안정적인 일자리와 상권 활성화를 제공하는 동선을 제안했다. 이로 인해 관광객의 짧은 체류, 렌터카 의존, 지역 불균형 소비 등 서귀포 관광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제주의 지속 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위한 대안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트램 사례처럼, 타젠은 장기적으로 ‘서귀포의 상징적 이동 수단’이자 ‘필수 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 샌프란시스코 트램은 단순 교통수단을 넘어 세계적 명소로 발전하며 도시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프로젝트를 주도한 문화예술경영대학원 하곤철 교수는 “학생들이 실제 지역 문제를 바탕으로 한 정책·사업 제안을 기획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문과 현장이 효과적으로 만난 사례”라며 “지역과 연계된 실무형 프로젝트를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귀포시와 지역 문화기관, 관광기업 관계자들도 이번 제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향후 공공-민간 협업을 통한 구체화 가능성에 기대감을 나타냈다고 대학원은 설명했다.

제주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은 2020년 신설해 지역 문화예술과 관광 산업을 융합한 정책 및 콘텐츠 기획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학제 간 융합 교육을 기반으로 예술경영, 관광 마케팅, 문화정책, 축제·행사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무형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 기관 및 기업과의 산학 협력 프로젝트도 활발하게 추진 중이다.
대학원생들은 매 학기 기획실습, 현장 연계형 워크숍, 문화예술 프로젝트 공모전 참여 등 실전 중심 커리큘럼에 따라 지역 밀착형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