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자사 고유 기술로 개발한 고내식 강판 ‘포스맥’을 기반으로 제작한 포스아트 강판의 활용처를 넓히고 있다.
포스아트 강판은 생생한 색상과 섬세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고 기존 대비 해상도가 최대 4배 이상 높은 고해상도 프리미엄 잉크젯 프린트 강판이다.

최근 국가유산청의 궁·능유산 복원 현장은 포스아트를 통해 공공예술과 휴식의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덕수궁 선원전 권역에서 포스아트로 만든 ‘아트펜스’ 가림막을 공개하는 기념행사를 가졌다. 선원전 권역은 ‘아름다운 옥의 근원’이라는 뜻으로, 선대 왕의 어진 등을 모시는 궁궐 내 가장 신성한 공간을 말한다.
행사에는 최응천 국가유산청장과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대사, 오도길 포스코 강건재가전마케팅실장, 윤석철 포스코스틸리온 컬러마케팅실장 등이 참석했다.
포스코그룹과 국가유산청은 지난해 8월 궁·능 복원 현장의 디자인 개선과 강재 사용 및 순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디자인환경 개선을 위한 아트펜스용 강판 후원 △강재절감 등을 위한 구조설계 검토 지원 △강재의 재활용 활성화 △궁·능 전통철물의 보존·연구 활용 등 4가지 분야에서 협업을 진행해왔다.
이날 공개된 포스아트 아트펜스는 포스코그룹과 국가유산청 간 헙업의 첫 성과물이다. 문화유적 복원 현장의 가림막을 플라스틱 패널과 시트지 대신에 포스맥 위에 포스아트 기술을 적용해 공공디자인 환경을 개선한 새로운 시도다.
포스아트 아트펜스는 덕수궁 선원전 터 내·외부, 경복궁의 영훈당 등 3곳에 설치됐다. 궁능유적본부 홍보대사인 이명호 사진작가가 선원전 터에 남아 있는 회화나무 등을 모티브로 만든 디자인으로 제작되었다.
포스코와 포스코스틸리온은 경복궁 등 문화유적 복원공사 대상으로 포스아트 등 철강제품의 적용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아트는 다양한 공공시설물에도 활용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7월 서울시와 순환경제사회 촉진 업무협약을 맺고 지난 4월 포스아트로 제작한 ‘서울둘레길 2.0’ 대형 종합안내판을 설치했다.
서울시는 지난 4월 말 서울의 대표적인 둘레길인 서울둘레길의 코스를 세분화하고 접근성을 높여 서울둘레길 2.0을 시민들에게 선보였다.
포스코는 업그레이드된 서울둘레길을 반영해 전 구간을 소개하는 종합 안내판을 포스아트로 제작해 지원했다. 종합안내판을 통일된 색상과 디자인으로 시인성을 높여 제작하고 부식에 강한 포스맥 위에 포스아트 기술을 적용해 디자인과 내구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포스코와 서울시는 포스아트 서울둘레길2.0 종합안내판을 아차산 공원, 화계사, 매헌 시민의 숲 등 개편된 둘레길의 권역별 주요 지점 6개소에 설치해 시민들이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고했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포스아트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로 시민들에게 철의 새로운 이미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