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이 야심차게 추진한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과 관련해 “예산 낭비와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경남도교육청은 “사업 시행 2개월 만에 이를 평가하기엔 무리가 있다. 면밀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경남교총)은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도내 초중고 교사 1044명과 중고등학생 51명, 초등생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단말기 사용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 설문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 효과’와 관련해 학부모 73%, 학생 59%, 교원 52% 등 설문 대상 모두에게 부정적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이유로는 △교육예산 낭비 △투입 예산 대비 낮은 활용도와 성능 △교원 행정업무 부담증가 △교육목적 이외 사용 문제 초래 등을 들었다.
1인 1스마트 단말기 보급 정책에는 공감한다는 응답자 중에서도 △교사, 학부모, 학생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졸속 정책 진행 △학교 컴퓨터실 현대화 사업으로 컴퓨터실 무용지물 우려도 있었다고 했다.
보급 스마트 단말기 성능 문제와 관련해서도 학부모 72%, 교원 64%, 학생 55%가 낮은 사양으로 기기 오류·고장 등 불만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능과 관련한 구체적인 불만 사항에는 △사양이 낮고 속도가 느림 △잦은 오류 발생 △무거운 무게로 인한 이동 불편함 등이 제기됐다.
이 같은 성능 문제는 낮은 사용빈도로 이어져 스마트 단말기 주당 사용 횟수를 묻는 문항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응답 비율이 학부모 71%, 학생 67%, 교원 63%로 집계됐다.
스마트 단말기 보급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는 대면수업이 진행되면서 스마트 단말기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것인데, “조금 더 빨리 지급됐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경남교총은 또 스마트 단말기 보급이 교사 업무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단말기 관리 등으로 교육본질과 무관한 행정업무가 늘었다고 응답한 교원이 78%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의 무분별한 스마트 단말기 사용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다.
학부모 대상으로는 △인터넷 사용 중독 우려가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 대상으로는 △스마트 단말기 공장 초기화 후 쉬는 시간에 이상한 것을 한다 △수업을 듣지 않고 스마트 단말기를 가지고 논다는 등 의견이 나왔다.
경남교총은 “이번 설문이 갖는 엄중한 의미는 교육 주체인 학생과 교사, 학부모 등 소통과 욕구 파악 없는 성급한 정책임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미래교육의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엉성한 보급은 정책 참사로 허상만 가득한 일방적 결정·비효율적·불통의 결과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교육청은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 효과는 면밀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도교육청은 “올해 8월까지 시행된 이 사업의 효과를 불과 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아울러 경남교총에서 시행한 설문 표집 대상 중 학부모 106명, 중고등학생 51명 수는 규모와 대표성에 대한 신뢰를 보내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스마트 단말기 보급에 따른 일시적으로 발생한 행정업무에 대해서는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이 사업은 2017년부터 꾸준히 추진해온 사업으로, 학교 현장과 소통을 더 강화해 새로운 교육 체제를 정착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남교육청은 ‘스마트 단말기 보급 사업’을 추진, 1578억원을 들여 도내 초·중·고등학생에게 스마트 단말기 29만여대를 보급하고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태블릿PC, 노트북, 노트북과 태블릿PC 결합형 등 3종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