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비속어 발언 논란을 최초 보도한 MBC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거취를 두고 공방이 이어졌다. 여당은 MBC가 조작 자막을 달고 보도했다며 감독기관장인 한 위원장이 사퇴할 것을 요구했다. 야당은 대통령실 김은혜 홍보수석과 김영태 대외협력비서관 등을 출석시켜 사실관계를 확인하자고 맞섰다.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은 이날 한 위원장에게 방송기자연합회 강령을 보여주며 “MBC는 보도강령과 준칙을 무시했다”며 “조작 방송도 모자라 한국과 미국을 이간질하려는 듯 백악관에 이러한 허위사실을 알리는 질의서를 보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윤두현 의원은 “언론 자유는 진실을 알리는 자유이지 거짓말하는 자유는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박성중 의원은 “언론윤리헌장에는 ‘정확성을 신속성에 우선한다’ 했는데, 공식 석상에서 나온 발언도 아니고, 주위 소음으로 정확한 내용을 알아듣기도 어려웠다”고 거들었다.

야당은 김 수석 등을 증인석으로 불러, 직접 따져보자고 역공에 나섰다. 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현장에 있던 김은혜 수석 등에게 사실관계를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같은 당 박찬대 의원은 국감장에서 윤 대통령 발언을 직접 동영상으로 재생하고 “아무리 들어도 바이든으로 들리지, 날리든으로 들리지 않는다”고 했다. 또 “대통령실에서 MBC에 보낸 공문을 보면 굉장히 공격적이다. 언론을 검열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여야 대립은 한 위원장 거취 문제를 놓고도 이어졌다. 박성중 의원은 이효성 전 위원장이 임기를 1년가량 남겨놓고 사퇴한 것을 거론하며 사퇴를 종용했다. 박 의원은 “대통령이 바뀌었는데, 정치 철학이 맞지 않는 사람이 물러나지 않겠다고 버티는 것을 두고 (한 위원장이) 자리에 연연해 불쌍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야당은 거세게 반발했다. 민주당 정필모 의원은 “정치적 독립이 중요한 방통위원장 흔들기는 위법”이라 지적했고 고 의원은 “굉장히 모욕감을 느껴야 한다. 말이 안 되는 것에 대해서는 항의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위원장 역할”이라고 했다. 한 위원장도 “합의제 행정기구인 방통위가 대통령 국정 철학에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타당한가”라는 정 의원 질의에 “생각이 다르다. 독립성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