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김치․된장찌개․부침개․잡채 등 대표 한식으로 꼽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4∼6명은 치킨을 한식이 아니라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가 ‘한국식 치킨’이라는 최근 조사 결과와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상당수 한국인은 대표적인 한식으로 김치와 된장찌개, 부침개, 잡채 등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진흥원이 지난 10월 18∼21일 전국의 만 19∼69세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한식 소비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양념치킨이 한식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 비율은 54.9% 였다.
또 후라이드 치킨이 한식이라는 답변은 더 낮은 36.1%에 그쳤다.
즉, 응답자의 6명가량(63.9%)은 후라이드 치킨이, 4~5명(45.1%)은 양념치킨이 한식이 아니라고 본 것이다.
이 같은 인식은 외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가 ‘한국식 치킨’이라는 한식진흥원의 최근 조사 결과와 다소 대조된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은 지난 8∼9월 외국의 주요 도시 17곳의 주민 8500명을 상대로 가장 선호하는 한식 메뉴를 조사한 결과, 치킨이 16.1%로 1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외국인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식이 한국식 치킨이지만, 정작 한국인 중 상당수는 양념·후라이드 치킨을 한식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한식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은 메뉴는 김치로, 99.7%에 달했다.
이어 된장찌개(99.3%), 부침개(95.3%), 잡채(94.3%), 김밥(90.8), 삼겹살구이(77.9%), 호떡(68.9%), 호두과자(67.0%), 부대찌개·어묵국(63.7%) 등의 순이었다.
한식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률이 낮은 메뉴는 콘치즈(16.3%), 카레라이스(17.3%), 경양식 돈가스(18.2%), 불고기 피자·불고기 버거(21.9%), 갈릭 바게트 샌드위치(22.1%), 짜장면(35.0%) 등이었다.
영화 ‘기생충’에 등장해 전 세계인들에게 눈도장을 찍은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가 한식이라는 응답률은 55.1%였다. 팥빙수, 만두, 라면 역시 50% 내외였다.
한식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무엇인지 묻는 항목에서는 ‘김치’라는 답변이 15.5%로 가장 높았으며 ‘밥·쌀밥’(14.1%), ‘국·찌개류’(12.4%), ‘건강하다’(13.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조사팀은 “김치, 된장찌개, 불고기, 나물 등의 메뉴가 많이 언급된 것으로 볼 때 국민 대다수는 이를 대표적인 한식 메뉴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