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신길2구역 등 5곳 도심복합사업 2차 지구 지정

입력 : 2021-11-29 01:00:00 수정 : 2021-11-28 21:23:17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토부 ‘2·4 주택 공급대책’ 탄력

LH 등서 도심 노후지역 고밀개발 방식
신길2구역 1326가구 등 1.4만가구 건설
지구지정∼분양 소요기간 2년6개월 불과
일반 분양주택 분양가 주변시세 60%선

서울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 0.73%로 감소

정부가 추진 중인 2·4 공급대책의 핵심으로 역세권과 준공업·저층 주거지 등을 고밀개발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신길2구역 등 5곳이 2차 예정지구로 이름을 올리면서 모두 1만4000가구의 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도심복합사업 추진과 관련해 신길2구역·도봉구 쌍문역 서측·제물포역 인근·부천 원미사거리 북측 등 4곳을 오는 29일, 덕성여대 인근을 다음 달 7일 각각 2차 예정지구로 지정한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달 증산4구역 등 4곳을 1차 예정지구로 지정했다. 1·2차 예정지구에서 사업이 확정되면 모두 1만4000가구 규모의 주택이 도심복합사업을 통해 공급된다.

 

신길2구역은 뉴타운 해제로 장기간 개발이 지연된 저층 주거밀집지역으로, 도심복합사업을 통해 용적률이 285%까지 완화돼 총 1326가구 규모의 아파트단지로 거듭난다. 쌍문역 서측지구는 1088가구, 제물포역 인근은 3410가구, 원미사거리 북측은 1678가구, 덕성여대 인근은 976가구 규모로 각각 개발된다.

 

도심복합사업은 기존 정비사업과 달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 주도로 도심 내 노후지역을 고밀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용적률 상향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해 주민 부담이 줄어들고, 사업기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이 지구 지정부터 분양까지 평균 13년 넘게 걸렸던 것에 비해 도심복합사업은 같은 절차에 소요되는 기간이 2년 6개월에 불과하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2차 예정지구 5곳의 주민 분담금은 민간 정비사업보다 30% 이상 낮은 가격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주민에게 현물보상으로 공급하는 주택가격은 전용면적 59㎡의 경우 3억1000만∼5억8000만원, 전용 84㎡는 4억2000만∼7억6000만원으로 추정됐다. 주민들의 가구별 평균 부담금은 3000만원에서 2억4000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반에 공급하는 분양주택도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는 공공주택으로 전량 공급된다. 이에 따라 분양주택의 분양가도 3.3㎡당 평균 1330만∼2662만원으로, 인근 시세의 60% 수준으로 낮아진다. 84㎡ 기준 일반공급 추정 분양가는 신길2구역 8억9000만원, 쌍문역 서측 7억2000만원, 덕성여대 인근 6억6000만원, 부천 원미 6억5000만원, 제물포역 인근 4억7000만원 수준이다.

 

국토부는 신길2구역 등 5곳에 대해서도 올해 말 지구지정을 거친 뒤 내년 말 설계공모를 시행할 계획이다. 내년 말까지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시공사 선정과 복합계획사업 승인 절차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KB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11월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0.73% 올라 전월(1.10%) 대비 상승폭이 감소했다. 지난 10월부터 두달 연속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경기·인천까지 합친 수도권 전체 집값 상승률도 1.11%로 지난달(1.27%)보다 상승세가 둔화됐다. 전국과 서울의 매매가격 전망지수도 이달 각각 99와 94를 나타내며 100 아래로 떨어졌다. 서울에서 매매가격 하락 전망이 우세한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
  • 박은빈 '반가운 손인사'
  • 전지현 '단발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