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기차 잡아라”… 대구 ‘이차전지 산업’ 육성 본격화

입력 : 2021-08-17 01:00:00 수정 : 2021-08-16 17:34:36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제2 반도체’로 거대시장 만들어
2026년까지 ‘상용화 센터’ 등 구축
관련기업 2030년까지 100개로
고용창출 5000명·매출 4조 기대

대구시가 전기차 분야 핵심인 ‘이차전지(배터리) 산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 글로벌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이차전지가 ‘제2의 반도체’로 불리며 또 하나의 거대시장으로 급성장한 데 따른 것이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달성군 달성2차산업단지 내 소각장 부지(8만1175㎡)에 2026년까지 ‘차세대 전지 상용화 지원센터’와 ‘전기저장장치(ESS) 산업화 지원센터’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중심으로 기업 유치와 인프라 지원 등 이차전지 산업을 집적화하는 ‘차세대 배터리 파크’도 조성할 계획이다. ‘차세대 배터리 파크’는 기업을 대상으로 고효율·고성능 리튬이온전지, 고성능·고안전성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등의 공동 기술개발과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성능인증, 제품생산, 수요 창출을 지원한다. 부족한 현장 전문인력 해소를 위해 학계와 함께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해 지역 기업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예정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40조원 투자를 목표로 정부의 RD(연구개발)·세제·금융 등의 종합 지원계획을 담은 ‘2030 이차전지 산업 발전 전략(2021)’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차세대전지 제조기술 및 요소기술 개발 △이차전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핵심기업 육성 △사용 후 배터리 시장 활성화를 통한 다양한 신규 수요시장 창출 정책을 담았다.

시는 이곳에 지역 인프라가 부족한 배터리 패키징과 음극재 관련 기업들을 유치해 차세대 배터리 산업의 가치사슬을 완성하는 한편, 농기계·로봇·모빌리티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사물배터리(Battery of Things)’ 분야 미래산업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 여기에 정부의 ‘2050 탄소중립 달성’에도 발맞춰 전기저장장치(ESS) 산업 특화, 전력 중심의 최종에너지 전환에 따른 효율적인 전력망 관리와 에너지 신서비스 산업육성 지원정책을 병행할 방침이다.

이 같은 산업 육성을 통해 2020년 기준 18개사의 지역 배터리 관련 기업을 2030년까지 100개 사로 늘린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또 같은 기간 고용 창출은 1500명에서 5000명으로, 매출액은 8500억원에서 4조원으로 각각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승대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현재는 보급 중심의 에너지 정책에서 제조기반 에너지 산업육성 정책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점이다”며 “지역의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분야 강점을 최대한 살리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과 농기계·모빌리티·로봇 등 지역 산업과 융합을 통해 신성장 산업의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