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Single use plastics (1)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21-02-08 23:18:09 수정 : 2021-02-08 23:18:08

인쇄 메일 url 공유 - +

By Richard Berman (columnist)

That do advances in access to clean food, water and quality health care have in common? Plastic wraps and containers. But today there is a new cri de coeur against “single use plastics.” For some environmentalists, the product is “Enemy Number 1.”

Consumers are accustomed to having a wide variety of food choices that are geographically impossible to produce in a single community. Obviously, most of that food is not grown locally. Cue the need for disposable plastic.

Access to clean water similarly depends on plastic. Although some only consider disposable plastic water bottles to be useful when traveling or going on a hike, the products are lifesaving in many areas of the country where drinking water has been compromised.

The federal government has 18 million bottles of purified water stored around the country for residents where necessary.

It’s the same in health care. Single-use plastics help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and disease. When products like surgical gloves, IV tubes and syringes are made of disposable plastics, concerns around sterilization largely disappear.

It’s evident plastics play an essential role in keeping Americans safe and healthy. However, this column is not a defense of every current plastic application.

In fact, we need to find better ways to mitigate the amount of plastic that is either not of a quality to be recycled or can be easily substituted with functional material. To borrow an Orwellian concept, all plastics may be equal, but some are more equal than others.

While we could develop several ranking systems to judge single-use plastic products - considering need versus convenience, recycling ease and available substitutes.

 

1회용 플라스틱 (1)

 

리처드 버먼(칼럼니스트)

 

청정한 식료품과 물 및 양질의 보건 이용이 발전한 데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플라스틱 포장재와 용기다. 그러나 오늘날 “일회용 플라스틱”에 반대하는 항의가 새로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환경보호론자들에게는 플라스틱 제품이 “공적 1호”다.

 

소비자들은 단일 지역사회에서 생산이 지리적으로 불가능한 폭넓게 다양한 식료품의 선택에 익숙하다. 분명히 그런 식료품의 대부분은 지역사회에서 재배되지 않는다. 일회용 플라스틱의 필요성이 여기서 나온다.

 

청정한 물의 이용 역시 비슷하게 플라스틱에 의존한다. 일부 사람들은 여행이나 하이킹을 갈 때에만 일회용 플라스틱 물병이 유용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각종 플라스틱 물병 제품은 이 나라에서 음용수가 오염된 많은 지역의 생명을 구하고 있다.

 

연방정부는 필요한 지역의 주민들을 위해서 미국 전역에 정수된 물 1800만 병을 보관하고 있다.

 

보건 분야에서도 상황은 동일하다. 일회용 플라스틱은 감염과 질병의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수술용 장갑과 정맥용 주사기 및 줄 같은 제품을 생산할 때 살균에 관한 걱정은 대부분 사라진다.

 

플라스틱이 미국인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 칼럼은 현재의 모든 플라스틱 적용을 옹호하자는 것이 아니다.

 

사실 우리는 품질상 재활용이 안 되거나 같은 기능의 물질로 쉽사리 대체될 수 있는 플라스틱의 분량을 줄이는 여러 가지 더 좋은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오웰의 개념을 빌려서 말한다면, 모든 플라스틱은 동등할 수 있으나 일부는 다른 것들보다 더 동등하다.

 

우리는 필요성 대비 편의성, 용이한 재활용성, 대체 가능성을 고려하여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판별하는 몇 가지 등급제도를 개발할 수 있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cri de coeur:항의 △cue:행동개시의 신호를 주다 △disposable:사용 후 버리는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소미 '깜찍한 볼콕'
  • 전소미 '깜찍한 볼콕'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