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시, 공공건물 ‘유니버설디자인’ 의무화

입력 : 2020-09-07 03:00:00 수정 : 2020-09-06 23:04: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1년부터 신축·보수 시설물에 적용
공공청사·도서관·지하철역사 등
우선 시 예산 지원 받는 곳 대상
어린이·장애인·외국인 등 접근 쉽게
현장 정착 위해 ‘통합건축 TF’ 가동
인증제 2022년 도입… 민간에 확대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돼 개선된 서울 성동구보건소 출입구의 모습. 진입 경사로가 기존 1.8m에서 3.5m로 확대되고, 여닫이문도 자동문으로 교체됐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내년부터 신축·보수하는 모든 공공건물과 시설물에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의무화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을 사회 전반으로 확대해 누구나 불편 없이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복지’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종합계획(2020∼2024)’을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유니버설디자인이란 성별과 연령, 국적, 장애 유무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과 사용 환경을 만드는 디자인이다.

서울시는 2010년 당시에는 생소한 개념이었던 유니버설디자인을 지자체 중 선도적으로 도입했으며, 2017년부터는 흩어져 있던 관련 법과 지침을 총망라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적용해오고 있다.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이 가이드라인이 공공·민간에 필수 적용되도록 정착시켜 나간다는 목표다.

우선 현재 권고 수준인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내년부터 모든 공공건축물과 시설에 의무 적용한다. 대상은 공공청사와 도서관, 공원, 지하철역 등 시 예산을 지원받는 모든 공공건축물과 시설물, 기반시설이다. 공공건축물 신·증축 시 기획·설계 단계부터 준공까지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의무 반영하고, 이를 확인받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공원을 만들 때는 계단·턱이 없는 평탄한 접근로가 있는 출입구를 최소 한 개 이상 확보하고,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를 위해 화장실에 보조 손잡이를 설치한다. 지하철역 안내 게시판은 어린이나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디자인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가이드라인이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디자인정책 총괄부서와 공공건축·건축위원회 심의부서 등이 협업하는 ‘통합건축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다. 또 시민 이용이 많은 문화·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집중 컨설팅을 지원해 현장의 물리적 여건을 고려하면서도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유니버설디자인 구현 방법을 제시할 계획이다. 연말부터는 모든 관련 부서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현장 여건에 맞게 가이드라인을 개선하고, 문화시설과 보행·교통시설, 교육시설 등 시설 유형별로 가이드라인을 추가 개발한다.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도 본격 운영된다. 주요 업무는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실행연구 △공공부문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모니터링 △유니버설디자인 인증 지표 개발 △시민 대상 교육 콘텐츠 개발·운영 등이다. 아울러 우수 건축물과 제품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인증제’를 2022년부터 공공분야에 도입하고, 추후 민간까지 확대한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는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제품과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UD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 조성된다.

유연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공공디자인은 장애 유무나 나이 등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소외되지 않도록 모든 시민을 세심하게 배려하고 포용하는 디자인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서울시 행정 전 영역에 유니버설디자인이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오피니언

포토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