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비정규직 보안검색 요원 1900여명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하겠다고 밝힌 뒤 ‘공정성 논란’이 거세게 이는 가운데, 인천공항공사 정규직 노동조합(노조)이 청와대 앞까지 찾아가 공사 측의 직고용 결정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공사의 일방적인 직고용 추진으로 대한민국의 평등·공정·정의의 가치가 훼손됐다”고 강조했다.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서 조합원 200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인천공항공사 노조의 집회에서는 청와대에 공사 측의 직고용 방침 철회를 요구하는 ‘요구서’와 국민들에게 이번 사태의 부당함을 호소하는 ‘호소문’ 등이 낭독됐다.
인천공항공사 노조와 한국도로공사 노조, 철도공사 노조 등 8개 단체 명의로 낸 요구서를 통해 이들은 “인천공항공사 구본환 사장은 제3기 노사전 합의를 뒤엎고 청원경찰직을 통해 보안검색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겠다는 정규직 전환대책을 기습적이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면서 “인천공항공사 사장의 일방적인 직고용 결정 철회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공정한 사회를 바라며 국민 여러분께 간절히 호소드립니다’라는 제목의 호소문에서는 “공사의 일방적이고 기습적인 직고용 발표는 어느 노동자에게도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공사의 기습적 직고용 발표로 인해 자회사로 편제된 노동자들은 혼란에 빠졌으며 전환 대상인 보안검색 노동자도 고용불안에 다시 떨고 있고, 취업준비생들은 채용 기회가 줄어들까 동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사의 직고용 추진으로 평등·공정·정의의 가치가 훼손됐다며 “더 이상 혼란과 노노갈등이 확산하지 않도록 노사전 합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기본 원칙이 지켜지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덧붙였다.

인천공항공사 노조는 이날 이번 논란에 대한 공사 측과 청와대 등의 해명들을 ‘팩트체크’ 형식으로 반박하기도 했다. 이들은 특히 ‘정규직들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반대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에는 적극 찬성한다”며 “다만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절차도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원경찰 제도의 문제점들을 조목조목 대며 따지기도 했다.
앞서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21일 보안검색 요원 1902명을 직접 고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초 공사는 보안검색 요원들을 공사 자회사의 정규직 직원으로 우선 채용한 뒤 법률을 정비해 직접 채용할 계획이었으나, 보안검색 요원들이 2017년 인천공항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의 정규직 전환 약속을 내세우며 직접 고용을 촉구했고 이에 법률 검토를 거쳐 보안검색 요원들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하기로 했다.
공사의 발표 후 공사 정규직들과 당사자인 보안검색 요원들, 인천공항에서 일하는 다른 비정규직들, 다른 공사의 보안검색 요원들, 취업준비생들까지 모두가 각자의 입장에서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