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와 경기 가평군, 서울 종로·중구 등은 최근 5년 간 범죄·생활안전 분야에서 가장 취약한 지방자치단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는 생활안전과 교통사고, 자살, 감염병 4대 분야에서 5년 연속 1등급을 받았다.
행정안전부는 △교통사고 △화재 △범죄(살인·강도·강간·폭력·절도) △생활안전(낙상·익수·감전 등) △자살 △감염병(간염·인플루엔자 등) 등 6대 분야 지난해 지자체별 안전 수준에 관한 통계를 바탕으로 한 ‘2019년 지역안전지수’를 10일 발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이들 분야 주요 국가통계를 활용해 17개 시·도와 226개 시·군·구의 안전수준을 위해지표(사망자 및 사고 발생 건수) 50%, 취약지표(위해지표 가중) 25%, 경감지표(위해지표 경감) 25%를 반영, 계량화해 1∼5등급으로 분류한 것이다.
결과에 따르면 올해 안전지수 1등급 시·도는 교통사고 분야에서 서울과 경기, 화재는 광주와 경기, 범죄는 세종과 경북, 생활안전은 부산과 경기, 자살은 서울과 경기, 감염병은 광주와 경기로 나타났다.

광주의 경우 3개 분야(교통, 화재, 감염병)에서 전년 조사보다 2개 등급 이상 개선돼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하위등급(4·5등급)이 없었다고 행안부는 귀띔했다. 서울은 ‘장년층 인생이모작 지원 조례’ 등으로 자살 사망자수가 특광역시 평균 증가율(18.7%)의 4분의 1 수준인 5.1% 증가에 그쳤다.
반면 세종은 교통사고와 화재, 생활안전 등 3개 분야에서 5등급으로 분류됐고, 제주는 범죄와 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행안부는 “제주의 5대 범죄 건수는 도 평균보다 40% 많은 인구 1만명 당 123.8건이지만 범죄예방 폐쇄회로(CC)TV 대수 증가율은 9개 도(평균 44%) 가운데 가장 낮은 34%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제주(범죄와 생활안전)와 세종(화재), 전남(교통사고), 부산(자살)은 특정 분야에서 5년 연속 5등급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단체 중에서는 수원시와 부산 기장군, 서울 송파구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수원은 4개 분야(범죄·자살 제외)에서, 기장군은 5개 분야(범죄 제외)에서, 송파구는 4개 분야(교통사고·범죄 제외)에서 1등급을 받았다.
반면 전북 김제시와 서울 종로구, 부산 중구, 대구 서구는 4개 분야에서 5등급에 머물렀다. 특히 교통사고와 화재, 자살, 감염병에서 5등급을 받은 대구 서구는 범죄와 생활안전 또한 4등급에 불과해 전 분야에서 하위등급을 기록했다.
교통사고 분야에서 5년 연속 5등급을 받은 지자체는 전남도, 충남 논산·전북 김제·경북 상주, 부산 강서구였고, 화재는 세종, 경기 포천, 서울 종로구였다. 범죄 분야는 제주와 경기 부천·안산·강원 속초·전남 목포, 경기 가평·강원 양양, 서울 종로·중구, 부산 중·동구, 대구 중구, 광주 동구였다. 생활안전은 제주와 경기 포천·강원 삼척·충남 공주, 경기 가평·강원 평창·경남 산청, 서울 종로·중구, 부산 강서구, 인천 중구였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지역안전지수는 지역의 안전수준을 과학적·객관적으로 진단한 것”이라며 “보다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지자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지자체별 구체적인 안전지수 현황은 생활안전지도 누리집(www.safemap.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