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약·진단시스템 개발 계획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14일 산하 뇌과학연구소 김영수(사진) 박사팀이 알츠하이머에 걸린 생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타우린이 뇌에서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억제하고,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교세포를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에게 6주 동안 매일 타우린 30㎎을 물에 녹여 먹인 뒤 미로 찾기와 전기충격에 대한 기억을 검사하는 반응실험을 통해 3개월간 뇌 인지기능을 검사했다. 그 결과 인지기능이 정상보다 50% 정도 떨어졌던 알츠하이머 생쥐는 타우린을 먹은 뒤 정상 수준을 회복했으며, 발병 중 나타나는 증상인 대뇌피질 염증도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앞으로 타우린의 화학구조를 변형해 약효가 증진된 신물질을 합성, 근원적으로 알츠하이머를 치료할 수 있는 신약과 더불어 혈액기반 알츠하이머 진단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의 12일자에 게재됐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