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앤탐스 커피류 200원·라테류 300원↑
공공요금 상승압력도 커져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식음료 업체들이 설 연휴가 끝나자 제품 가격을 일제히 올리기 시작했고, 일부 공공요금은 이미 올랐거나 인상을 앞두고 있다.
집세와 농산물 등 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들도 도처에 널려 있다. 1년 넘게 이어지던 저물가 기조가 막을 내리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롯데리아는 오는 14일부터 판매 운영 제품 중 일부 품목 대상으로 100~300원 인상키로 했다. 인상품목은 불고기버거·새우버거 단품 2품목 및 일반 세트류 18품목, 드링크류 6품목 등 총 26품목이다. 인상금액은 100~300원 수준으로 평균 인상률 약 2.5%.
앞서 커피전문점인 탐앤탐스는 지난 7일부터 커피류는 200원, 라떼류는 300원 가격을 올렸다.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기준 3600원에서 3800원, 카페라떼는 3900원에서 4200원으로 인상됐다. 이밖에 도미노피자와 파리바게뜨도 가격을 인상했다.
이에 앞서 식음료 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지난해 오리온, 해태제과, 롯데제과 등이 자사 대표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데 이어 올해 농심과 크라운제과까지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농심은 새우깡을 비롯한 스낵류와 즉석밥, 웰치주스 등에 대해 평균 7.5%의 가격을 올렸으며, 크라운 제과는 '빅파이' 등 7개 제품 가격을 최대 10% 인상했다.
롯데칠성음료는 10일부터 칠성사이다, 펩시콜라, 칸타타, 게토레이 등 총 14개 제품을 평균 6.5% 인상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연말 코카콜라는 제품 출고가를 평균 6.5% 올렸다. 디아지오코리아 역시 딤플 위스키 가격을 평균 4.9% 인상했다. 이에 따라 12년산(500㎖)의 출고가격은 2만4992원에서 2만6224원으로, 18년산(500㎖)은 3만7917원에서 3만9776원으로 각각 오른다.
빵도 가격인상에 합류했다. 삼립식품은 오는 17일부터 순차적으로 일부 빵류의 제품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평균 인상폭은 6.4% 수준. 주요 인상 품목으로는 12버터롤이 3300원에서 3500원(6.1%), 싱그러운아침우유식빵이 1500원에서 1600원(6.7%) 등이다.
대부분 업체의 가격 인상 요인은 원재료비를 비롯한 인건비, 물류비 등 비용 상승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판매관리비 급등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의 물가정책에 적극 부응, 가격인상을 자제해 왔지만 물류비와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인상을 단행했다"고 말했다.
도시가스와 상·하수도 요금, 전기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이 오른지 얼마 안 돼 식음료 제품 가격까지 오르게 돼 가계의 부담은 더 늘어나게 됐다.
이런 소비자 물가 상승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1.7%에서 하반기 2.8%로 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1.3%)은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은은 최근 '인플레이션 보고서'에서 "2013년 12월 물가 상승률이 전년 말월 대비로 3.0% 상승해 전년 말(1.1%) 수준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 압력이 커져 올 연말에는 더 크게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물가 상승 요인은 곳곳에 널려 있다. 지난해 하락세를 기록했던 농산물 가격의 반등과 전월셋값 오름세 등으로 공급 측면의 상승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공공요금도 물가 불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공공요금은 도시가스·상하수도·교통요금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올해도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승 압력이 크다. 통계청 집계를 바탕으로 한은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05~2009년 공공요금의 평균 상승률은 2.8%, 2010~2013년은 1.5%였다. 요금 상승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소비자단체 쪽은 이 같은 가격 인상 주장에 설득력이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최근 3년간의 원재료 시세는 대체로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격 인상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있다. 매달 생활필수품 가격을 조사·분석해온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기업들이 연말 연시를 틈타 개별 원재료의 가격 추이를 알지 못는 소비자 약점을 이용해 손쉽게 값을 올려 마진을 확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집세와 농산물 등 물가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들도 도처에 널려 있다. 1년 넘게 이어지던 저물가 기조가 막을 내리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롯데리아는 오는 14일부터 판매 운영 제품 중 일부 품목 대상으로 100~300원 인상키로 했다. 인상품목은 불고기버거·새우버거 단품 2품목 및 일반 세트류 18품목, 드링크류 6품목 등 총 26품목이다. 인상금액은 100~300원 수준으로 평균 인상률 약 2.5%.
앞서 커피전문점인 탐앤탐스는 지난 7일부터 커피류는 200원, 라떼류는 300원 가격을 올렸다.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기준 3600원에서 3800원, 카페라떼는 3900원에서 4200원으로 인상됐다. 이밖에 도미노피자와 파리바게뜨도 가격을 인상했다.
이에 앞서 식음료 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지난해 오리온, 해태제과, 롯데제과 등이 자사 대표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데 이어 올해 농심과 크라운제과까지 줄줄이 가격을 인상했다.
농심은 새우깡을 비롯한 스낵류와 즉석밥, 웰치주스 등에 대해 평균 7.5%의 가격을 올렸으며, 크라운 제과는 '빅파이' 등 7개 제품 가격을 최대 10% 인상했다.
롯데칠성음료는 10일부터 칠성사이다, 펩시콜라, 칸타타, 게토레이 등 총 14개 제품을 평균 6.5% 인상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연말 코카콜라는 제품 출고가를 평균 6.5% 올렸다. 디아지오코리아 역시 딤플 위스키 가격을 평균 4.9% 인상했다. 이에 따라 12년산(500㎖)의 출고가격은 2만4992원에서 2만6224원으로, 18년산(500㎖)은 3만7917원에서 3만9776원으로 각각 오른다.
빵도 가격인상에 합류했다. 삼립식품은 오는 17일부터 순차적으로 일부 빵류의 제품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평균 인상폭은 6.4% 수준. 주요 인상 품목으로는 12버터롤이 3300원에서 3500원(6.1%), 싱그러운아침우유식빵이 1500원에서 1600원(6.7%) 등이다.
대부분 업체의 가격 인상 요인은 원재료비를 비롯한 인건비, 물류비 등 비용 상승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판매관리비 급등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의 물가정책에 적극 부응, 가격인상을 자제해 왔지만 물류비와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인상을 단행했다"고 말했다.
도시가스와 상·하수도 요금, 전기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이 오른지 얼마 안 돼 식음료 제품 가격까지 오르게 돼 가계의 부담은 더 늘어나게 됐다.
이런 소비자 물가 상승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물가 상승률이 전년 대비 1.7%에서 하반기 2.8%로 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1.3%)은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은은 최근 '인플레이션 보고서'에서 "2013년 12월 물가 상승률이 전년 말월 대비로 3.0% 상승해 전년 말(1.1%) 수준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 압력이 커져 올 연말에는 더 크게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물가 상승 요인은 곳곳에 널려 있다. 지난해 하락세를 기록했던 농산물 가격의 반등과 전월셋값 오름세 등으로 공급 측면의 상승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공공요금도 물가 불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공공요금은 도시가스·상하수도·교통요금 등을 중심으로 올랐다.
올해도 지방자치단체별로 상승 압력이 크다. 통계청 집계를 바탕으로 한은이 분석한 자료를 보면, 2005~2009년 공공요금의 평균 상승률은 2.8%, 2010~2013년은 1.5%였다. 요금 상승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소비자단체 쪽은 이 같은 가격 인상 주장에 설득력이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최근 3년간의 원재료 시세는 대체로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격 인상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있다. 매달 생활필수품 가격을 조사·분석해온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기업들이 연말 연시를 틈타 개별 원재료의 가격 추이를 알지 못는 소비자 약점을 이용해 손쉽게 값을 올려 마진을 확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