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정상회담은 북핵 위기로 양국 간 공조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에서 열린다. 박 대통령은 한·미 동맹 60주년을 맞아 안보 공조체제를 공고히 하면서 외교·경제 분야에서도 양국 간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가 양국 관계를 명실상부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양국 정상은 우선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조율에 나선다.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실시 이후 석 달 가까이 지속하고 있는 한반도 안보위기를 해소하고 북한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공동대응 방안을 적극 모색할 것으로 관측된다. 양국 정상이 향후 4년간 손발을 맞춰 북한의 도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첫 단추를 끼우게 되는 셈이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추가 도발이 없다면 북한과 대화를 통해 관계 정상화에 적극 나선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대북 공조에는 ‘찰떡궁합’을 선보일 것이다. 이를 위해 박 대통령은 핵심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천명할 것으로 점쳐진다.
![]() |
청와대 윤창중 대변인이 16일 춘추관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5월 미국 방문과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내년 3월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문제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주요 의제다. 협정 체결 당시 원자력 불모지대였던 한국은 지금 세계 5위의 원자력 기술강국으로 성장했다. 박근혜정부는 이런 위상변화를 새 협정에 반영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 권한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핵 비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미국 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어 진통이 불가피해 보인다.
양국은 내달 초 정상회담을 앞두고 16일, 17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원자력협정 개정을 위한 6차 본협상에 착수한다. 정부는 양국 협상단이 이견을 최종 조율하면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정치적 결단을 내리는 형태의 타결을 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협정의 타결 여부가 북핵공조 문제와 함께 첫 정상회담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미 정부 일각에서는 “양국이 원자력 협상 사안도 타결하지 못하면 동맹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남상훈·김동진 기자 nsh2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