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과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이번 제언은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 염분을 많이 포함한 햄버거나 피자, 샌드위치 등의 가공식품과 당분이 많은 음료를 과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징수한 세금은 건강 관련 사업에 쓰일 예정이라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이들 전문가는 정크푸드와 설탕이 들어간 음료의 소비 급증과 성인병 증가를 비만세 도입 배경으로 꼽고, "시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비만세가 도입되면 그만큼 값이 비싸진 정크푸드와 음료의 소비는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아울러 정크푸드와 음료의 소비 감소로 성인병의 증가 추세도 꺾일 것이라는 게 정부 측 기대이다.
한 보건 전문가는 "지난 몇 년간 정크푸드와 설탕이 들어간 음료가 원인이 돼 폐와 심장 질환, 암, 당뇨병 등으로 사망하는 인도인이 연간 약 580만명에 달한다"며 "2015년에만 6910만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인도 정부는 지난해 4월부터 비만세 도입을 추진해 광고규제의 도입과 함께 학교에서 정크푸드 판매를 금지하는 지침도 마련해 일선 학교에 배포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사진= 타임스 오브 인디아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