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 과학탐구 당락 좌우
최상위권 변별력 없을 듯” 12일 치러진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지난해 수능과 올해 6·9월 모의평가에 비해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
![]() |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풍문여고 시험장에서 수험생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
입시전문가 등은 국어의 경우 A형은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고 B형은 지난해에 비해 다소 쉬운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A/B형 모두 올해 모의평가보다는 다소 어렵게 나왔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국어 영역이 매우 어려워 첫 교시부터 진땀을 뺐다는 의견이 많았다.

판곡고 조만기 교사는 “지난해 수능은 검산할 시간이 있을 정도로 쉬웠지만 올해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문제들이 많아 수험생들이 푸는 데 어려움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엄마 끝났어”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풍문여자고등학교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한 수험생이 기다리던 가족과 함께 시험장을 떠나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이준식 수능 출제위원장은 지난해 만점자 비율이 너무 높았다는 지적에 대해 “만점자 비율을 인위적으로 계산해 출제하지는 않았다”면서 “영역별로 예상 정답률 20∼30%인 (고난도) 문제는 과목별로 적게는 2∼3문항, 많게는 4∼5문항 정도 출제했다”고 밝혔다.
수능 출제를 담당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시험이 끝난 직후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심사한 뒤 23일 오후 5시 최종 정답을 발표할 계획이다. 수능 성적은 다음달 2일 수험생에게 통보된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