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16학년도 수능] 성적별 지원 전략은

관련이슈 2016학년도 수능 시험

입력 : 2015-11-12 19:05:22 수정 : 2015-11-13 02:29:22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가채점 점수 높게 나왔다면 정시 올인 바람직
12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은 다음달 2일 성적 발표 시까지 미리 정시지원 전략을 세우기 시작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모집에서는 수능 성적을 100% 반영하는 대학이 지난해보다 다소 늘었다.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영역별 반영비율을 잘 살펴 지원전략을 짜는 것이 관건이다.

올해 수능 성적을 100% 반영하는 대학은 경희대와 동국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등이다. 수능을 90% 반영하는 대학은 건국대와 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이다.

정시지원 전략을 짜기 위해선 우선 정확한 가채점이 필요하다. 수능 점수가 예상보다 잘 나왔다면 수시 전형 참여보다 정시 집중이 낫다. 단순히 총점에만 집착하는 경향은 금물이라는 조언이다. 이종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많은 대학들이 영역별로 반영 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비율로 계산해서 전략을 짜면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대체로 인문계열은 국어와 영어영역에, 자연계열은 수학·과학탐구에 가중치를 주는 경우가 많고, 상위권 대학은 수학에 가중치를 주는 경우가 많다. 수능이 쉬워지면서 동점자가 많아 동점자 처리기준도 미리 확인하면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된다.

입시전문가들은 이날 치러진 수능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쉬운 가운데 다소 변별력이 생겼다는 평가를 내놨다. 또 모의평가보다 어려워 체감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에 자신의 점수가 모의고사보다 낮아졌다고 낙담하긴 이르다고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과거 물수능 사태에 비춰보면 올해 수험생의 체감난이도는 한결 높아졌을 것”이라며 “인문계 학생은 국어와 수학에서, 자연계 학생은 국어와 탐구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변별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소장의 경우 “인문계열은 전 영역의 표준 점수가 비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을 찾기가 쉽지 않아 정시 전형에서는 몇 점의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매우 어려운 전형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성적대별로는 최상위권의 경우, 지난해보다 변별력이 다소 생겼다 해도 최상위 대학과 학과의 선발인원이 적고 지원자 간 점수차가 작아 안전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조언이다. 중상위권은 상위권 대학의 수시선발 비율이 높아 상위권 학생들이 수시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가·나·다군 중 한 번쯤은 상향지원을 해봐도 좋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어를 잘 본 중상위권 인문계 학생은 정시에 더욱 집중하는 전략이 추천된다.

하위권도 포기는 금물이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하위권은 미달될 대학과 학과를 찾으려 하지 말고, 학생부를 반영하는 대학이 많고, 수능 4개 영역 중 2또는 3개 영역만 반영하는 대학도 상당하기 때문에 자신이 유리한 대학을 적극적으로 찾아 도전하라”고 조언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