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수능 성적을 100% 반영하는 대학은 경희대와 동국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중앙대, 한양대, 홍익대 등이다. 수능을 90% 반영하는 대학은 건국대와 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이다.

입시전문가들은 이날 치러진 수능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쉬운 가운데 다소 변별력이 생겼다는 평가를 내놨다. 또 모의평가보다 어려워 체감 난이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에 자신의 점수가 모의고사보다 낮아졌다고 낙담하긴 이르다고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과거 물수능 사태에 비춰보면 올해 수험생의 체감난이도는 한결 높아졌을 것”이라며 “인문계 학생은 국어와 수학에서, 자연계 학생은 국어와 탐구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변별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소장의 경우 “인문계열은 전 영역의 표준 점수가 비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을 찾기가 쉽지 않아 정시 전형에서는 몇 점의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매우 어려운 전형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성적대별로는 최상위권의 경우, 지난해보다 변별력이 다소 생겼다 해도 최상위 대학과 학과의 선발인원이 적고 지원자 간 점수차가 작아 안전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조언이다. 중상위권은 상위권 대학의 수시선발 비율이 높아 상위권 학생들이 수시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는 만큼, 가·나·다군 중 한 번쯤은 상향지원을 해봐도 좋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어를 잘 본 중상위권 인문계 학생은 정시에 더욱 집중하는 전략이 추천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