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사 입주가 시작된 이후 4900여명의 공무원이 세종시에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2014년까지 행정·연구기관 종사자 2만여명이 세종시로 주소를 옮길 예정이다. 공무원 가족까지 포함하면 세종시 인구 유입은 더욱 늘어나 곧 12만명을 돌파할 전망이다.
그러나 세종정부청사가 ‘허허벌판’에 지어지면서 주거·교통·의료·편익 시설 부족에 대한 원성도 높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인프라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청사 내 후생을 위해 구내식당 좌석도 1352석에서 1844석으로 확대하고 패스트푸드점 등도 운영할 계획이다. 청사 인근과 첫마을 광역급행버스(BRT) 인근 공사 기간도 당초 예정보다 4∼5개월씩 앞당겨 완성해 편의점, 병원 등 400여개 편의시설을 조기에 확충한다는 복안도 세웠다. 각종 상업시설의 인·허가 기간도 대폭 줄인다. 내부 통신망에 ‘맞춤형 주거 알선 서비스’를 만들어 공무원의 주거정보도 공유할 수 있게 했다. 행복청은 장기적으로는 세종시를 전봇대, 담장, 점포주택, 광고입간판이 없는 도시로 만들고 공원과 녹지 비중도 52%에 이르게 할 계획이다.
행복청 관계자는 “세종시가 처음부터 계획으로 세워진 도시인 만큼 뉴욕의 센트럴파크가 부럽지 않은 최첨단 녹색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정진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