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원춘에 희생된 수원 여대생, 이것만 알았어도…

입력 : 2012-05-23 16:05:34 수정 : 2012-05-23 16:05: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 15일 오후 11시 50분쯤 경기도 A여고 1학년 B양(17)은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지나가던 40대 남성에게 성추행을 당했다. 옆에서 이를 목격한 B양의 친구 C양(17)은 즉시 휴대전화에 등록된 단축번호를 눌러 경찰에 신고했다. 112 신고센터는 신고가 접수된지 8분만에 현장에 도착해 피의자를 검거했다.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이 어린이·여성 등 위급상황에 놓인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시범 실시하고 있는 ‘SOS 국민안심 서비스’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서울과 경기 남부, 강원 지역에서 해당 서비스가 시범 실시된 이래 현재까지 총 22건의 사건·사고(성추행·학교 폭력 등 17건, 미아·승강기 구조 등 5건)가  해결됐다.

SOS 국민안심 서비스는 위급한 상황에서 휴대전화, 스마트폰, 전용단말기 등을 이용해 말없이도 신고가 가능한 서비스로, 신고자 위치 정보와 긴급 상황을 경찰에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범인 검거나 신고자 구조를 돕는 시스템이다.

SOS 국민안심 서비스에는 경찰서에서 사전에 등록한 휴대전화 단축번호로 신고하는 ‘원터치 SOS’, 스마트폰에 112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뒤 위급상황시 ‘긴급신고’ 버튼을 누르는 ‘112 앱 서비스’, 전용 단말기를 이용해 보호자 등에게 위급 상황을 신고하는 ‘U-안심서비스’가 있다.

지난 1년간 해결된 22건의 사건·사고 가운데 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터치 SOS’서비스를 이용했으며 나머지 1건은 ‘112 앱 서비스’로 해결됐다.

행안부와 경찰청은 시범 사업을 통해 SOS 국민안심 서비스의 효과가 검증되고 있는 만큼 오는 7월까지 112 신고센터가 통합되는 충북, 전남, 경남, 제주지역으로 확대한 뒤 연말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행안부 장석홍 재난안전실장은 “현재 초등학생(원터치 SOS)과 미성년자(112앱)로 한정하고 있는 가입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며, “SOS 국민안심 서비스가 어린이와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태영 기자 wooah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