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현 정부에 대해 ‘6·15, 10·4 선언’의 합의 사항 이행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따라서 이런 기조 위에서 남북이 전면적인 대화와 협력을 해야 한다는 취지가 김 위원장 메시지에 담겼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현 정부 출범 이후 장기간 얼어붙은 남북 관계를 진전시킬 수 있도록 이 대통령의 ‘결단’을 요구하는 김 위원장의 뜻도 포함됐을 것으로 점쳐진다. 이와 관련해 김 위원장이 궁극적으로 남북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이 대통령의 의사를 타진하는 ‘화두’도 던졌을 것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그전 단계로 ‘특사 교환’이 언급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기남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는 전날 정치권 인사들과 가진 조찬행사에서 “지도자의 결심이 중요하다”고 누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에게도 비슷한 취지의 언급을 했을 법하다. 지도자의 ‘결심’, 결단은 정상끼리 만나 ‘통크게’ 남북 관계를 풀자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또 북핵 문제에 대한 북측의 논리와 주장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 북측의 김 위원장 메시지 전달에 대해 이 대통령이 북핵 문제를 포함한 우리 정부의 대북 원칙을 설명했다는 것은 이를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북측은 북핵 문제가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에 의해 과장된 것이며, ‘우리 민족끼리’의 정신에 따른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을 것으로 보인다.
허범구 기자 hbk1004@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